봄을 가지고 온 아이
아직 날씨가 쌀쌀한 어느 봄날이었다.
우리 아동복 가게에 허름한 옷차림의 아주머니가 한 여자아이와 함께 들어왔다.
"우리 딸이에요. 예쁜 티셔츠 하나 주세요."
나는 아이에게 마음에 드는 것을 고르라고 하였다. 그랬더니, 아이는 환하게 웃으면서,
"아무거나 괜찮아요. 엄마가 골라주시면 다 좋아요." 하는 것이었다.
옷을 고르면서 주고받는 두 모녀의 대화는 정이 가득 넘치고 있었다.
두 모녀는 만 원짜리 티셔츠를 사가지고 나갔다.
그런데, 얼마 뒤 아이가 그 옷을 들고 와서는,
"저, 죄송한데요, 이거 돈으로 그냥 돌려주시면 안 될까요?" 하는 것이었다.
"왜 엄마가 사주신 건데 무르려고 하니? 엄마한테 혼나면 어쩔려구?"
나는 맹랑하다는 생각과 함께 조금은 불쾌해지는 기분을 감추지 못했다.
아이는 얼굴이 빨개지면서 말했다.
"사실은 엄마가 시장 좌판에서 야채장사를 하셔요. 하루 종일 벌어도 만원을
못 버실 때도 있어요. 엄마한테 미안해서 이 옷을 못 입겠어요."
순간 나는 코끝이 찡해 왔다. 그리고 불쾌한 마음을 가졌던 자신이 부끄러웠다.
나는 고사리 같은 작은 손으로 그 큰 사랑을 가지고 온 아이가 너무 예뻐서,
"참 예쁜 생각을 하는구나. 그래, 이 돈은 다시 엄마를 갖다 드리려무나.
그리고 이 옷은 아줌마가 네 그 고운 마음씨가 예뻐서 선물로 주는 거야."
하면서, 작은 청바지와 함께 티셔츠를 다시 예쁘게 싸서 아이에게 들려주었다.
"그래, 넌 마음씨가 예쁘니 공부도 잘하겠지만, 더 열심히 해서 훌륭한 사람이
됐으면 좋겠다." 라고 말해주었다.
그 날은 예쁜 마음씨의 아이 때문인지 종일 손님도 많았고, 내 기분도 내내
상쾌한 봄 날씨처럼 즐거웠다.
다음 날, 아주머니가 다시 옷가게에 오셨다. 봄나물을 한 봉지 싸가지고.
"얘가 무얼 사주면 늘 그런다오." 하시면서 몇 번이나 미안하고 고맙다고 하였다.
"착한 딸을 두셔서 좋으시겠어요. 아주머니가 부러워요!"
"예. 고생하는 보람이 있다오. 이 집도 복 많이 받으시라고 기도하겠어요."
정말, 다시 두 모녀를 떠올려보는 것만으로도 기분이 좋아지는 날이었다.
- 어느 글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