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불교 분당교당
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맵
분당교당비전 어린이마당 청소년마당 단회 보고서 자료실
  • 좋은글퍼오기
 
작성일 : 2013-04-12 20:27
뒤에야 알았네
 글쓴이 : 이선조
조회 : 1,661  
뒤에야 알았네

                             진계유(陳繼儒)

 

  고요히 앉아 본 뒤에야

  평상시의 마음이 경박했음을 알았네.

 

  침묵을 지킨 뒤에야

  지난날의 언어가 소란스러웠음을 알았네.

 

  일을 돌아본 뒤에야

  시간을 무의미하게 보냈음을 알았네.

 

  문을 닫아건 뒤에야

  앞서의 사귐이 지나쳤음을 알았네.

 

  욕심을 줄인 뒤에야

  이전의 잘못이 많았음을 알았네.

 

  마음을 쏟은 뒤에야

  평소에 마음 씀이 각박했음을 알았네.

 

            진계유(1558 ~ 1639)

  명나라 말기 송강부(松江府) 화정(華亭) 사람. 자는 중순(仲醇)이고, 호는 미공(眉公) 또는 미공(麋公)이다. 어려서부터 글재주가 뛰어났고, 고아(高雅)함을 숭상했다. 젊어서 동기창(董其昌), 왕형(王衡)과 함께 명성을 나란히 했다. 금병매(金甁梅)를 지은 왕세정(王世貞)으로부터 존경을 받았다. 29살 때 유자(儒者)의 의관을 태워 버리고 관료의 길을 포기한 뒤 소곤산(小昆山) 남쪽에 은거했다. 나중에 동사산(東佘山)에 살면서 저술에 전념했다.

  시문에 뛰어났고, 단한소사(短翰小詞)가 모두 풍치가 있었다. 글씨는 소식(蘇軾)과 미불(米芾)을 배웠고, 그림에도 능했다. 동기창이 사관(詞館)으로 오랫동안 있으면서 서화로 천하에 오묘했지만 항상 그에 대한 칭찬이 입에서 떠나지 않았다. 여러 차례 불렸지만 모두 병으로 거절했다. 82살로 생애를 마칠 때까지 풍류와 자유로운 문필생활로 일생을 보냈다. 저서에 보안당비급(寶顔堂秘笈)미공전집(眉公全集)이 있다.

 


 
 

Total 189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퍼와서 사용하기 공부 (2) 운영진 2008-07-19 14605
공지 본 게시판은 이렇게 사용합니다. (1) 운영진 2008-06-19 15135
177 아름 다운 사람 (2) 이선조 2014-02-10 2617
176 나이먹으며 사귀어야할 친구 (1) 이선조 2014-01-16 1837
175 대나무처럼 살라! 이선조 2014-01-01 1434
174 네 운명는 네 손안에 (2) 이선조 2013-12-30 1364
173 11월기도문 이선조 2013-11-01 1735
172 긍정적 감정의 밀물현상 이선조 2013-10-19 1567
171 치매예방법 이선조 2013-08-24 1431
170 늑대같은 남자 이선조 2013-08-10 1802
169 4대 어느 가장의 시 이선조 2013-08-03 1736
168 충고 집합 이선조 2013-08-01 1270
167 뒤에야 알았네 이선조 2013-04-12 1662
166 서로 격려하는 삶 이선조 2013-03-30 2287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