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교당 법회 사회를 보기 위한 일반 사항을 첨부하였습니다.
● 성가 연습 (15분전부터)
● 시작 전 안내사항 (3분전)
“가지고 계신 핸드폰은 꺼 주시거나 진동으로 해 주시기 바랍니다”
법회 시작 전 1분 정도는 마음을 가라 앉히고 조용히 법회를 맞이할 준비를 하도록 멘트. (10시 정각에 시작할 수있는 여유의 시간을 갖도록)
● 시작 (10:00) : 대각전 뒤편 시계로 10시에 정확히 시작합창단이 “일원상 부처님께”를 부릅니다. (교무님이 단에 올라감)
● 좌종 : 교무님이 10번을 치신다 (앉아서 수를 센다)
● 개회 : (죽비 3타 후) “원기 00년 0월 0일 법회를...”
● “모두 자리에서 일어나서 법신불전에 4배를 올립니다”
◎ (자리를 잡으면 법신불전으로 돌아서서)
◎ 죽비 한번씩 4번, 마지막에는 2타 “자리에 앉아 주시기 바랍니다”
● 입정 독경 : “산란한 마음을 가라 앉히고 마음을 모으는 입정과 일원상서원문 독경이 있겠습니다” (입정과 독경은 교무님이 타종으로 주관)
독경이 끝난 후에, 교무님이 경종 3타로써 식이 끝남을 알림.
경종소리가 끝난 후에 다음 식순을 사회자가 진행한다
● 설명기도 : “다함께 일어나서 합장하시고 설명 기도를 올립니다”
“기도 첫머리 말씀은 함께 해 주시겠습니다”
(설명기도 전에) 죽비 1타 (첫머리는 느리게)
◎ “.. 일심으로 비옵나이다” (느리게) (심고가--피아노)“ 모두 자리에 앉아 주시기 바랍니다”
● 법어합독 : “법어합독 시간입니다. 오늘은 1062쪽 원불교 교사”
4.창립 인연들의 결속“ 함께 봉독합니다
● 일상수행요법 : “다함께 일상수행요법을 염송합니다” (정전54쪽)
● 성가 : “다음은 성가 순서입니다”
◎ (132장: 항상 밝은 빛, 171장: 하나인가 하나인가 -- 합창단)
● 경강 : “경강시간입니다, 오늘 경강을 해 주실 000교도.
● 설법 : “설법시간입니다. 오늘은 지타원 정명중 교감교무님께서.....”
● 성가 : 163장 (가는 맘 잡아 매고)
● 공고 : “공고시간입니다. 먼저 처음 나오신 분이나 오랜만에 나오신 분이 있으시면 인사해 주시기 바랍니다”
“회보 뒷면에 대한 공지사항에 대해 안내를 해드리겠습니다. 함께 보아주시기 바랍니다”
● 성가 : 30장 (교당의 노래)
● 폐회 : “대각전 뒤에 마련된 차를 드시면서 인사도 하시고 법정을 돈독히 나누시다가 가시기 바랍니다”
“이번 한 주일은 경계를 당할 때마다 많이 웃으시기 바랍니다”
“이상으로 원기 00년 0월 0일 예회를 원만히 마치겠습니다”
죽비 3타
사회 보기 전 준비 사항
●
하루 전날
인터넷 교당에 들어가 분당회보 편을 보고 예회식순 및 공고사항을 본다
- 성가 연습
. 인터넷 교당에 들어가 부를 성가를 몇 번 들어 본다
. 그날에 부를 성가의 페이지에 스티카로 차례로 표시
- 법어봉독
. 숨을 쉬거나 끊어서 읽어야 할 부분을 연필로 check 한다.
. 한자가 있으면 한자의 독음을 달아 놓는다.
- 일상수행요법
. 54쪽을 항상 스티카로 표시해 두고 보면서 함께 염송할 수 있도록.
. 간혹 순서가 틀리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음 - 마이크로 전달 됨
● 당일 (9시 20분까지 도착)
- 마이크 음향 상태 확인
- 설명 기도문
. 읽어 본다 (3번 정도)
. 어휘나 문맥을 본인이 일기 쉽게 최종적으로 고친다.
. 숨을 쉬거나 끊어서 읽어야 할 부분을 Check 표시 한다.
- 일요 예회 식순
. 일자, 죽비 타수, 핸드폰 안내사항을 회보에 memo 한다.
- 교당 소식
. 잘 모르는 부분은 교무님께 여쭈어 본다.
. 중요 알려 드려야 할 사항을 check, 추가의 공고 사항이 memo
- 생일자 파악
. 당일 생일자를 파악하고 출석 여부 Check
. 꽃다발이 교당에서 준비되었는지 확인
기타 안내 사항
. 일반적인 사항
- 매월 첫째 주 : 월초 기도
- 매월 둘째 주 : 교가 제창 (회보 식순에 있음)
- 피아노 반주 : 첫째 주에는 김순연 교도, 기타 주에는 배장은 교도
. 월초 기도 및 일반 기도식(교당불사 1000일 기도 등등) 이 있는 법회에는 교당에서 작성된 기원문을 교무님 하신다.
. 이외의 기타 법회에서는 사회자가 기도문을 작성하여 설명기도를 한다.
. 월초 기도시 및 일반 기도식에서,
- 교무님이 입정, 영주, 기원문을 주관하시고,
기원문 후 4배와 묵상심고는 사회자의 죽비에 맞추어 진행하며,
이후 독경은 교무님이 주관하신다.
. 기도시 기원문은 앉아서, 묵상심고 및 설명기도는 일어서서 한다
. 기도식 또는 일반적인 법회에서, 독경이 끝난 후에 교무님이
마지막으로 경종 3타를 하신 후에 다음 식순을 사회자가 진행한다.
. 회보 공고사항은 중요한 몇가지만 공고한다.
. 법회 당일 생일자에 한하여 꽃다발 증정.
- 공고후 맨 마지막에 진행
● 주의 사항
- 사회자 마이크가 소법당 및 공양실에도 연결 되어 있으므로 사소한 말이나 특히 성가를 대중과 함께 부르다가 안 부르다가 할 경우에 대각전 대중은 잘 몰라도 소법당 및 공양실에서는 다 듣고 있으므로 마이크를 사용할 때에는 보이지 않는 교도가 있음을 염두해 두어야 한다.
- 성가의 음정 박자에 자신이 없는 경우에는 대중과 함께 부르는 성가는 부르지 않는 것이 더 좋을 수가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