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 2009-11-04 23:27
[목요공부] 10월22일 수행품12장~21장
|
|
글쓴이 :
강현주
 조회 : 2,809
|
참석자:이준희,강현주,신소명,권덕근
"한가로움이어라"-대종경 창작성가
일기발표:신소명
수행품12장-선禪의 목적과 강령 *목적-망념을 쉬고 진성을 길러서 오직 공적여지가 앞에 나타나게 하는것 *강령-적적한 가운데 성성함은 옳고 적적한 가운데 무기는 그르며, 또는 성 성한 가운데 적적함은 옳고 성성한 가운데 망상른 그르다
수행품13장-좌선의 목적과 주의사항 *오는 잠을 참고 좌선을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한 가지 주의할 일은?
수행품14장-단전주丹田住선법으로 하라 단전주법을 취하여 1.수양하는 시간에는 온전히 수양만 하고 2.화두 연마는 적당한 기회에 가끔 한번씩 하라.
수행품15장-수승화강水昇火降되는 이치
수행품16장-기질의 수양,심성의 수양 *수양력을 얻어 나가는데 두 길이 있다. 1,밖으로 기질수양 2,안으로 심성수양 3,수도인은 기질수양과 심성수양을 겸해야 완전한 수양력이 된다.
수행품17장-두 세가지를 동시에 해야 하때의 일심공부는? 자기의 책임만 가지고 이 일을 살피고 저 일을 살피는 것은 하루에 백천만 건을 아울러 나간다 할지라도 일심 공부하는 데에는 하등의 방해가 없나니라 (바느질하고 약 달일 때의 일심공부는?)
수행품18장-오롯한 일심공부를 하려면? 일심공부를 하는데 그 마음이 번거하기(조용하지 못하고 자리가 어수선하다)도 하고 편안하기도 하는 원인은?
수행품19장-참다운 마음을 얻는 두 가지길(외정정外定靜 내정정內定靜) 사람에게는 항상 동과 정 두 때가 있고, 정정을 얻는 법도 외정정과 내정정의 두 가지 길이 있나니
외정정--동(動)하는 경계를 당하여 대의로 취사하여, 망녕되고 번거한 일을 짓지 아니하는 것으로써 정신을 요란하게 하는 마(魔)의 근원을 없이 하는 것 내정정--일이 없을 때에는 염불이나 좌선으로 어지럽게 일어나는 천만 번뇌를 고요하게 잠재워 무념의 경지에 들어가 온전한 근본정신을 양성한다.
수행품20장-천만경계를 응용할 지언정 끌리지 아니 하려면? 마땅히 그 하고 싶은 데에도 끌리지 말고, 하기 싫은 데에도 끌리지 말고, 항상 정당한 도리만 밟아 행하여 능히 천만 경계를 응용하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
수행품21장-큰 도인도 애착심愛着心이 있나니라. 대종사 말씀하시기를 「애착심이 있으면 도인은 아니니라. *애착愛着이라 하는 것은? 사랑에 끌리어 서로 멀리 떠나지를 못한다든지 갈려 있을 때에 보고 싶은 생각이 나서 자신 수도나 공사(公事)에 지장이 있게 됨을 이름이니 그는 그러한 일이 없나니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