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불교 분당교당
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맵
분당교당비전 어린이마당 청소년마당 단회 보고서 자료실
  • 공부방
 
작성일 : 2013-04-03 14:14
[자유공부] 경강-솔성요론 4조 "지식있는 사람이 지식이 있다 함으로써 그 배움을 놓지 말 것이요." -현타원 김도명
 글쓴이 : 관리자
조회 : 4,251  
솔성요론 4조.
지식 있는 사람이 지식이 있다 함으로써 그 배움을 놓지 말 것이요,"
여기에서 먼저 솔성 공부는 삼학 중 "작업취사"에 해당합니다.
"솔성"의 말 뜻을 알아보자면
1)"솔성"의 말 뜻
1. 사람의 본성을 회복하여 일상생활 속에서 잘 활용하는 것.
사람의 본성, 곧 본래 성품은 일원의 진리와 같이 원만구족하고 지공무사한 것이므로, 그와 같이 본래 성품을 잘 사용하는 것.
2. 일원의 진리를 깨달아서 일원의 위력을 얻고 일원의 체성에 합하여 천조의 대소유무의 이치를 보아다가 인간의 시비이해를 건설하는 것.
3. 천도에 순응하고 나아가 천도를 자유자재로 활용하는 것.
천권을 부려 쓰고 천지의 주인이 되는 것.
솔성을 잘한다는 것은 곧 작업취사공부를 잘 하는 것이 된다.

2)솔성 공부에 세 단계가 있다.
1. 마음의 육신을 마음대로 부려 쓴다.
2. 원만구족하고 지공무사한 자성에 잘 순응하여 진리에 어긋나지 않느다.
3. 자성을 깨쳐서 천지 만물을 절도에 맞게 자유자재로 활용한다.

3)솔성의 어원
"솔성"은 사서 삼경 중<중용>의 맨 첫머리에 나오는 말이다. 이는 <대종경 불지품 6장
>에 "대장사 송벽조에게 중용의 솔성지도를 해석하여 보라 하시니"라는 말씀에서 알 수 있다. 여기서 "솔성지도"라 함은 "천명지위성, 솔성지위도 수도지위교" 즉 하늘의 명 자체가 곧 우주의 본래 성품이요, 진리이며, 그 본래 성품을 경계속에서 모유로 활용하는 것이 곧 도이며, 그 도를 잘 닦아 가는 것이 곧 "교"라는 구절을 말하는데 이는 중용의 강령이요 유교 사상의 근본 정신이 된다.

4)본론에 들어가서
솔성요론 제 4조 "지식있는 사람이 지식이 있다함으로써 그 배움을 놓지 말 것이요"는 너무 당연한 내용같기만 공부하는 사람이 가장 조심해야 할 "중근병"을 경계하는 말씀이라고 생각됩니다.
인생은 나면서부터 죽을 때까지 배우는 학생이니 언제나 그 배움을 놓지 말라는 것이다. 진리는 멈추어 있지 않고, 언제나 새롭게 변화한다. 그러므로 복습이 없으며 알던 것도 잊어 버리고, 배움이 없으면 새 시대에 뒤지지 않을 수 없으므로 옛 것을 더욱 갈고, 새 것을 더욱 습득하여 항상 신구를 겸한 원만하고 밝은 인격을 갖추는 요법이다.

1. 배움을 놓지 말아야 할 이유는?
1>이치의 종류도 한이 없고, 일의 종류도 수가 없어서 그 많은 일과 이치를 다 알기도 어려울 뿐 아니라, 또한 세상은 날로 변화하고, 새로워지고 있어서, 그 지식이 있다는 것도 한정이 있고, 설혹 한 때의 상당한 지식을 가졌다 할지라도 그 배움을 놓아버리면 아는 것도 잊어 버리고 새로운 시대에 적응할 수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끊임없이 배움을 놓지 말아야 할 것이다. 배움을 멈추면 인간으로서 계속 성장할 수 없다.
2>일원상의 진리는 한 없이 깊고, 크고, 넓으며, 끊임없이 돌고 돌아 변화하고 있다. 그러므로 그 진리를 확실히 잘 알아서 그대로 쓰기로 하면 끊임없이 배워야 한다.
3>그 일 그일에 아는 것이 없으면 그 일 그 일에 소경이 되고 만다. 소경의 앞 길이 얼마나 답답하고 위태롭겠는가! 법문으로 "지식은 눈이요 인격이다."

2. 지식이란 무엇인가?
지식이란 천조의 이치나 인간 만사에 대해서 알고 있는 것이다. 즉 사리간에 상당히 알고 있는 정도를 말한다. 문자적 지식과 사리간에 지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3. 지식을 배우는 순서는
주로 소년기에는 과학을, 청년기에는 도학을 배워서 원만한 기초 지식으 함양하되 날로 새로워지는 시대에 어둡지 않도록 끊임없이 도덕,정사, 생활, 상식 등의 모든 지식을 배워야 할 것이다.

4. 배우는 방법은
사요의 지자본위와 일상수행의 요법 7조를 잘 실행하면 될 것인 바
그릇이 차면 넘치는 것이니 먼저 큰 원력으로 그릇을 더욱 키우고, 언제나 허공같이 그 마음을 비워 두는 동시에 간절한 마음으로 묻고, 생각하고, 실행하여 배워가야 할 것이다.
근본적인 것과 필요한 것부터 먼저 배우자.
우주는 큰 학교요 인생의 영원한 학생이니 평생 내지 영생을 통해 배우는 일을 놓지 말자.
경험은 위대한 수업이다.
생각 있게 보고 생각있게 듣고, 생각 있게 살자.
결론으로 배움을 놓지 않고 꾸준히 공부해 나가는 것만이 능사가 아니고 다음과 같이 주의할 점이 있음을 강조하면서 마우리하겠다.
1. 대종경 교단품 30장-속욕심에 끌리지 말고, 이소 성대의 원칙에 따라 바라는 바 목적을 성취하고
2.대종경 수행품 41장- 인도를 여의고 세상을 벗어나는 법은 구하지 말고,
3. 대종경 수행품45장- 공부의 본의를 벗어나 외학을 구하는 데에 정신을 쓰지 말것.
실행하지 않으면 아무 것도 이룰 수 없다. 실행이 성과다. 그러나 내가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분명히 아는 것이 더 먼저다.

원기98년 3월24일 경강발표시간에...

이선조 13-08-05 21:11
 
완벽한 경강에 존경의 박수를 보냅니다.
평생하갱으로 하심으로 배우는 불공을 잘하여 배움에 달인이 -----
 
 

Total 189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일반] 원기 103년 교리퀴즈법회 기출문제(대종경… 윤현석 2018-11-30 7537
153 [자유공부] 불생불멸. 인과보응 (1) 이선조 2013-10-11 4016
152 [자유공부] 大地虛公心所現 十方諸佛手中珠 頭頭物… (1) 김성진 2013-09-20 3935
151 [일반] 有爲爲無爲 無相相固全 忘我眞我現 爲公… 김성진 2013-09-19 2454
150 [일반] 대종사 수필법문(자료) 이선조 2013-09-11 2835
149 [자유공부] 좌선 연습 (1) 이선조 2013-08-09 5627
148 [일반] [강연] 솔성요론 12조 (2) 신소명 2013-08-05 2832
147 [자유공부] 8월의일지 -1 이선조 2013-08-03 3663
146 [자유공부] 경강-솔성요론 4조 "지식있는 사람이 지식… (1) 관리자 2013-04-03 4252
145 [목요공부] 출생 100 기도문 이선조 2013-03-21 4068
144 [목요공부] 목요일의 심고 신소명 2013-02-23 3342
143 [자유공부] 대동주 (大同呪) - 공부자료 (3) 오정원 2012-11-11 3964
142 [일반] 3가지 비우는 공부 이선조 2012-10-02 2252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