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불교 분당교당
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맵
분당교당비전 어린이마당 청소년마당 단회 보고서 자료실
  • 공부방
 
작성일 : 2012-01-21 21:19
[자유공부] 휴휴암 좌선문----부 좌선자는 수 달호 지선 하여 당자 성성 이니
 글쓴이 : 이선조
조회 : 3,071  
휴휴암좌선문>은 중국 원(元)나라 말기의 선승(禪僧)인 몽산덕이화상(蒙山德異和尙)이 휴휴암(休休庵)에서 지었다고 하나니, 고려의 나옹화상이 우리나라에 전하여 오늘날 선법(禪法)을 진흥시키는 요결의 경문(經文)으로 독송되고 있나니라.

부좌선자(夫坐禪者)는 수달호지선(須達乎至善)하야� 당자성성(當自惺惺)이니 대범, 좌선이라 하는 것은 모름지기 지선의 자리에 사무쳐서 마땅히 스스로 성성하게 함이니

지선(至善)이란 끝까지 대자대비심(大慈大悲心)을 놓치 않음이요, 또한 선(善)이란 착(着)에도 사로잡히지 않고 오직 천지가 응용무념(應用無念)의 도(道)로써 만물에 덕화(德化)를 입히듯이 불변의 심경으로 매사를 시종여일(始終如一)하게 하는 것이니다.
. 보통사람들은 마음이 좋을 때에는 한 때의 선심(善心)을 발하였다가 조금만 뒤틀어지면 도리어 그 선으로써 근거를 삼아 해(害)를 주며, 공사(公事)를 하는 사람도 어떠한 발심(發心)이 나서 공사를 할 때에 자기의 하는 일을 중인(衆人)들이 잘 알아주지 못하면 원망이 충천(充天)하게 되고 반대로 중인들이 잘 알아주면 흥(興)이 일어나며, 공부하는 사람들도 마음이 평탄하고 좋을 때에는 공부할 결심이 스스로 견고(堅固)하다가도 어떠한 역경(逆境)과 난경(難境) 순경(順境)이 돌아오면 바로 해태(解怠)를 일으켜서 공부를 중도폐지(中途廢止)하게 되며, 또는 조그만 선(善)을 쌓았으면 선(善)을 실행했다는 선(善)에 사로 잡혀서 지선(至善)을 하지 못하는 까닭에 대성인(大聖人)이 되지 못하고 대공(大功)을 이루지 못하나니라. 그러나 불보살(佛菩薩) 성현들은 오직 지선(至善)을 하나니,
 
곧 먼저 선(善)이란 착을 놓고 대자대비심(大慈大悲心)으로 끝까지 진실하게 공부를 하며, 남을 위하건만 혹 피은자(被恩者)가 배은망덕(背恩忘德)을 한다할지라도 천지같은 응용무념의 덕으로 끝까지 덕화(德化)만을 베푸는 까닭에 지선(至善)을 행하신다고 하나니라. 또 안이비설신의(眼耳鼻舌身意) 육근(六根)을 작용할 때 천만경계와 천만사(千萬事)에 내심(內心)이 전혀 요란하지도 시끄럽지도 않으며, 또한 마음에 거리끼고 끌려가지 않는 것이 지선(至善)이라,
 물건을 떠나서도 견문간(見聞間)에 끌리는 바가 없고 착(着)이 없이 오직 청정무애(淸淨無碍)한 자리, 곧 지경(至境)의 자리로서 선악을 초월한 지경이 지선(至善)이다.

 당자성성(當自惺惺)은 지선(至善)의 진리를 밝게 깨달아 아는 것에 달한 것이며, 또는 지선의 자리를 목표로 삼아 그에 이르고 머무르는 것이 당자성성(當自惺惺)이니라.

 
 

Total 189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일반] 원기 103년 교리퀴즈법회 기출문제(대종경… 윤현석 2018-11-30 7525
141 [자유공부] 경강--나태하지 말며 성세심 2012-08-20 4302
140 [일반] 기원문결어 이선조 2012-07-15 3040
139 [일반] 좌선의 중요성-최철원 문지원 2012-07-06 2273
138 [자유공부] 2단 강인근 님 강연 원고 관리자 2012-06-23 2850
137 [자유공부] 전망품 1-2장 연마 이선조 2012-02-24 3325
136 [자유공부] 원각가 이선조 2012-02-18 3197
135 [목요공부] 요훈품 43장 ~ 44장 신소명 2012-02-16 3862
134 [자유공부] 휴휴암 좌선문----부 좌선자는 수 달호 지… 이선조 2012-01-21 3072
133 [자유공부] 휴휴암 좌선문 이선조 2012-01-21 4472
132 [자유공부] 97 가족 축원기도및 선공부(좌선문 중심) 이선조 2012-01-20 2697
131 [수요공부] 일원상 신앙 이선조 2012-01-20 3407
130 [수요공부] 정전 강의 18-일원상 신앙 2 이선조 2012-01-18 3742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