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전 수행편 제11장 계문
보통급 10계문중 마지막 : 연고없이 담배를 피우지 말라
(계문은 우리교도가 지켜야할 규범으로서 깨끗하고 착한습관을 익혀 지키는 맹세
강인근
1. 담배란
- 쌍떡잎식물로 가지과에 속하는 다년생풀이지만 온대지방 재배시는 한해살이 풀임
- 담배잎을 한방에서는 소화불량·통증완화 등 약재로사용, 종기·악창·옴·버짐의 환부에 붙혀 치료하기도 함
가). 담배의 유래
- 1492년 경 콜롬버스(스페인 탐험가)가 신대륙발견, 상륙해보니 원주민(아메리카 인디오)들이 피우는 것을 처음본 이후 서구에 알려지고 전파됨, 그러나 이미 기원전부터 중남미대륙에 야생으로 생육·분포되어 있어서 인디오들은 애용했던 것으로 짐작됨.
나). 담배가 우리나라에 전파된 과정 및 영향
- 우리나라에 들어온 연대와 경로에 대하여는 고정된 설은 없음.
- 문헌의 단편적기록(1608~1816)에 의하면 일본으로부터 들어온 것으로 추정하고 있음.
- 임진왜란(1592~1598)이후 고구마·감자·고추·담배와 같은 식물이 들어옴
- 일본은 이미 서양과의 교류가 활발했으며 영어의 tabacco가 일본어화 되어 타바코로 되었는데 한국에서는 담배란 이름으로 피우기 시작된 것으로 추정함.
- 1950~1960년대 담배는 정부기관인 전매청에서 독점관리함. 전매수익은 국가재정의 큰부분을 담당함.
다). 담배의 유해성분과 인체에 미치는 영향
- 담배잎에 함유된 성분 : 니코틴·놀리코틴아나바신·파페리딘·유기산·수지무기질 등
- 흡연으로 체내에 흡수되는 유해물질은 니코틴·타르·일산화탄소 등 크게 3가지임
① 니코틴으로 인한 중독
- 담배잎에 함유된 대표적성분, 니코틴은 중독성 강화며 권련 1개당 약 0.2~0.6mg 함유
- 니코틴이 체내 흡입시 신경마비증상으로 구토증·현기증·두통증상 등이 발생하며 노르아드레날린호르몬의 분비를 촉진, 중추신경을 자극, 모세혈관 수축으로 혈압이 상승하고, 심장운동촉진으로 맥박이 빨라지며, 침의 분비와 위의 운동을 증가시킴.
- 니코틴의 흡입량이 증가하면 역으로 위의 운동억제, 임산부의 경우는 태반의 혈액흐름을 방해함. 과량흡입시는 신경마비로 사망에도 이르게됨.
② 담뱃진의 성분, 타르
- 200여종 이상의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는 담배가 880도로 연소할 때 작은입자로 연기속에 존재하며 연기 1mL당 0.01~1.0mm입자가 100만개 이상 함유
- 호흡시 기관지표면 점막의 섬모는 먼지를 잡아 밖으로 배출하는데 10mm이상 입자는 가래와 함께 배출되나 1.0mm 내외 입자는 60%이상 폐속으로 들어감.
- 타르속의 발암물질은 현재 약 15종 정도 밝혀져 있으며 그중 3.4벤죠피렌탄화수소가 가장 나쁜 발암물질로 알려져 있음.
③ 산소결핍을 일으키는 유해가스
- 담배가 탈때는 일산화탄소·이산화탄소가 발생되며, 이중 일산화탄소는 약 45000ppm(공기오염 심할 경우 50ppm이하, 이산화탄소는 약 250ppm 발생함.
- 일산화탄소는 산소대신 혈액의 적혈구 속 헤모글로빈과 잘 결합, 몸속 여러기관에 산소운반을 방해하므로 일산화탄소 중독증상을 일으킴(연탄가스 중독증상 참조).
④ 흡연으로 인한 호흡기 장애 : 폐암
- 흡연의 건강적 피해는 처음부터 폐암 발생과의 관련성으로부터 그 심각성이 알려지기 시작.
- 폐암은 다른 어떤 암보다 흡연과 그 원인적 관련성이 높은 암임.
- 1964년 경 미국 후생보건성이 흡연은 폐암 발생의 주된 원인으로 선언적 발표를 하게됨(36편의 대규모 흡연의 폐암관련 역학조사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 흡연관련 질병보고서)
- 대표적 연구로 알려진 'kahn 박사(1966)'의 연구에 의하면 1일 반갑 흡연자는 비흡연자의 3.9배, 1일 1갑~2갑 흡연자는 비흡연자의 약 17~24배 폐암발생과 사망률이 상승한다고 하였음.
- 폐암환자(흡연자)의 90~95%는 "흡연을 안했으면 폐암에 걸리지 안했을것" 이라고 하였음
2. 연고없이 담배를 피우지 말아야할 이유
- 건강유지에 이득보다 해가 많음(질병의 원인)
- 정신수양에 해독이 많다(니코틴 중독으로 정신력 약화)
- 경제적 낭비 초래와 취급부주의로 화재의 원인 제공
- 매우 좋지않은 기호품
3. 담배를 피우게 되는 원인과 경우
- 호기심의 발동과 무료한 시간을 메우기 위해서
- 공부심이 없고 화가 날 때
- 습관과 중독에 의해서
4. 연고있는 흡연이란
- 사교상 부득이한 경우와 병에 의한 약으로 쓰는 경우
- 사색을 돕는 경우
5. 금연하려면 그 방법은?
- 흡연을 처음부터 배우지 않는것이 가장 바람직한 방법
- 용단을 내어 공부심으로 끊어야함(절연, 대체품 활용, 프로그램 참여)
- 거기에 사용되는 금전을 유익하게 타용도 전환
- 금연의 일화참조(각 개인)
6. 금연의 효과
- 심신의 건전화
- 용단력과 좋은 습관
- 사회적으로 세세생생 건전한 심신의 소유자가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