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불교 분당교당
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맵
분당교당비전 어린이마당 청소년마당 단회 보고서 자료실
  • 공부방
 
작성일 : 2011-12-14 21:46
[수요공부] 정전12 일원상진리-2
 글쓴이 : 이선조
조회 : 3,590  

일원상진리2.

  정전1에서는 서원으로 진리를 공부하되 4단락으로 나누어서 정진하라 가주내용 이었다면 진리 2에서는 일원과 일원상 을 이해하며 견성성불의 표준 이되는 진리를 이해하는데 도움 되는 내용 입니다.

. 일원상은 '부처님의 심체'(교의품 3장)를 나타낸다. 일원은 곧 법신불이며(교리도), 법신불은 '부처님의 자성 진체'(경의편 46장)를 의미합니다., '일원상은 법신불(일원)의 상징'(원리편 1장) 또는 '진리 전체의 사진'이라 하여 '일원상 봉안' 등 '도형으로서의 일원상'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진공 묘유의 조화가 우주 만유를 통하여 무시광겁(無始曠劫)에 은현자재(隱顯自在)하는 것'이 일원상의 진리이다. '진공(眞空)'은 상대가 끊어진 절대 자리로서 일원의 진리 가운데 제일 공한 것으로, '공적(空寂)' 혹은 '적적(寂寂)'이 이에 해당되고, '묘유(妙有)'는 적적한 가운데 영령함이 있는 것으로, '영지(靈知)' 또는 '성성(惺惺)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진공과 묘유는 둘이 아닌 세계입니다. 진공은 묘유의 바탕이고, 묘유는 진공의 작용이다. 묘유가 나타날 때에는 진공이 묘유 속에 있는 것이며, 진공으로 있을 때에는 묘유가 진공 속에 있는 것이지요.

 

'진공 묘유'는 일원상 진리를 그대로 나타낸 말입니다.. '적적성성 성성적적(寂寂惺惺 惺惺寂寂)'은 일원상 진리를 선의 강령으로 잡아주신 말씀이고, '응무소주 이생기심(應無所住而生其心)'은 일원상 진리를 이와 같이 공부하라는 교훈이다. 모두 같은 말이다. 대종사님, 정산종사님 모두 일원상을 '견성성불의 화두'로 삼으라고 하셨습니다. 의두 성리 연마에 있어 일원상 진리를 가장 우선 순위에 두어야 합니다.

 

일원상 진리는 원불교 수행의 '표본'입니다. . 교의품 첫머리에 나오는 일원상의 진리를 가장 먼저 중요하게 다루어야 합니다. 대종사님께서는 일원상 진리에 근원하지 않으면 사도(邪道)라고 하셨습니다.(교의품 3장)

 

 

 


 
 

Total 189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일반] 원기 103년 교리퀴즈법회 기출문제(대종경… 윤현석 2018-11-30 7532
129 [수요공부] 정전강의 -일원상 신앙1. 이선조 2012-01-18 3477
128 [수요공부] 정전강의16 ( 일원상진 리-공적한 바탕을 … 이선조 2012-01-11 3788
127 [수요공부] 정전 강의15 일원상의진리를 어디서 찾아… 이선조 2012-01-11 3989
126 [수요공부] 정전 강의 14( 일원상 진리 4-어떻게 깨우… 이선조 2012-01-11 3514
125 [자유공부] 일원상 기도 (3) 유신화 2011-12-31 2625
124 [수요공부] 정전 강의 13. 일원상 진리 (여래를 모셔라… 이선조 2011-12-14 3324
123 [수요공부] 정전12 일원상진리-2 이선조 2011-12-14 3591
122 [수요공부] 정전11 일원상 진리 이선조 2011-11-30 3745
121 [수요공부] 정전 10-교법의총설 3 이선조 2011-11-09 3921
120 [수요공부] 정전l9 교법의총설2 이선조 2011-11-09 3833
119 [수요공부] 정전8 -교법의총설 이선조 2011-11-09 3760
118 [일반] 김도창 님 강연 (1) 관리자 2011-11-03 2514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