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불교 분당교당
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맵
분당교당비전 어린이마당 청소년마당 단회 보고서 자료실
  • 공부방
 
작성일 : 2012-01-11 21:48
[수요공부] 정전 강의 14( 일원상 진리 4-어떻게 깨우쳐야 하는가?)
 글쓴이 : 이선조
조회 : 3,514  

일원상진리를 어떻게 깨우쳐야 하는가?

 

일원상의 진리장 에서 진리의 모습을 구체적으로 표현하고 있는 곳이 ‘일체중생의 본성이며’의 뒷부분 부터입니다.

 

일체중생의 본성도, 제불조사 마음도, 우주의 진리도 이렇게 생긴 것이라고 일러주신 것입니다.

 

그러면 우리는 진리를 어떻게 깨쳐야 하는가? 결국 본성을 통해서 진리를 깨우쳐야 합니다. 공원정, 대소유무, 돈공, 광명 조화의 관계는 일원상의 진리를 이해할 때에 그 하나의 진리를 설명하는 방식이라고 봐야 합니다.

 

그러나 진리를 해석할 때에 자칫 잘못하면 공을 설명할 때에는 밝음을 잊어버리고 밝음을 설명할 때에는 묘유를 잊어버리고 묘유를 설명할 때에는 공을 잊어버려 진리를 세 개로 나누는 우를 범할 수 있습니다.

 

공의 진리, 광명의 진리, 묘유의 진리, 이것이 따로 따로 있는 것이 아니고 하나의 진리를 설명해 주신 것입니다.

 

가령 몸은 하나인데 키와 무게와 모습은 어떻게 생겼다 했을 때 키 따로 무게 따로 모습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설명을 그렇게 한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진리의 구조를 돈공, 광명, 조화를 따로 떨어뜨려 생각하지 말고, 하나로 보고 연마를 해야 합니다.

 

그러면 견성이라는 것은 무엇인가? 견성이라는 것은 본성 자리를 안다는 것입니다. 그럼 본성 자리가 어떻게 생긴 것을 안다는 것인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비고 밝고 조화로운 그 모습임을 알고, 내 마음도 그렇다는 것을 안다는 것입니다.

 

이렇게 일원상의 진리를 해석하고 체득하면, 신앙과 수행의 모든 교리가 다 여기서 섭렵이 될 것입니다.

 

 


 
 

Total 189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일반] 원기 103년 교리퀴즈법회 기출문제(대종경… 윤현석 2018-11-30 7537
129 [수요공부] 정전강의 -일원상 신앙1. 이선조 2012-01-18 3478
128 [수요공부] 정전강의16 ( 일원상진 리-공적한 바탕을 … 이선조 2012-01-11 3789
127 [수요공부] 정전 강의15 일원상의진리를 어디서 찾아… 이선조 2012-01-11 3990
126 [수요공부] 정전 강의 14( 일원상 진리 4-어떻게 깨우… 이선조 2012-01-11 3515
125 [자유공부] 일원상 기도 (3) 유신화 2011-12-31 2626
124 [수요공부] 정전 강의 13. 일원상 진리 (여래를 모셔라… 이선조 2011-12-14 3325
123 [수요공부] 정전12 일원상진리-2 이선조 2011-12-14 3591
122 [수요공부] 정전11 일원상 진리 이선조 2011-11-30 3746
121 [수요공부] 정전 10-교법의총설 3 이선조 2011-11-09 3922
120 [수요공부] 정전l9 교법의총설2 이선조 2011-11-09 3834
119 [수요공부] 정전8 -교법의총설 이선조 2011-11-09 3761
118 [일반] 김도창 님 강연 (1) 관리자 2011-11-03 2515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