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불교 분당교당
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맵
분당교당비전 어린이마당 청소년마당 단회 보고서 자료실
  • 법의문답
 
작성일 : 2011-10-16 22:53
화두수행 회의론- 경향신문 발췌
 글쓴이 : 김명종
조회 : 2,204  
지난달 24일 합천 해인사의 선원(禪院) 개방이 화제를 낳았다. 참선을 체험하려는 일반인들이 줄을 이었고, 언론들은 ‘1200년 만의 첫 선방공개’라는 사찰 이벤트를 대서특필했다. 보도대로라면 불교의 참선 수행이 대중화될 날도 그리 머지않아 보였다.

그러나 외부에 비친 ‘매력적인’ 불교 선원문화와 달리 수행 스님들의 고민은 깊은 모양이다. 출가 경험이 있는 한 불교계 인사는 “최근 한 스님으로부터 ‘선방에 앉아 화두를 들고 있는 게 무슨 의미가 있는가라는 생각이 종종 든다’라는 얘기를 들었다”면서 “ ‘간화선 수행’에 대해 회의를 갖는 수행자들이 적잖이 있는 것 같다”고 전했다.

그는 “한국 불교가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의 흐름을 외면한 채 과거의 관습을 답습하고 있다”며 “현실세계와 소통하지 못하는 불교에 대한 위기의식이 커가고 있다”고 우려했다. 실제 이러한 목소리는 불교계 내부에서 공론화하고 있다. 특히 한국 불교의 대표적 수행법인 ‘간화선(看話禪:화두를 들고 수행하는 참선 방법)’ 수행을 놓고 논란이 거세다. 
불교 초기경전을 연구하고 있는 마성 스님(팔리문헌연구소장)은 계간 ‘불교평론’ 최근호에 기고한 ‘한국불교의 수행법, 무엇이 문제인가’에서 간화선 수행의 문제를 집중 제기했다.

대한불교 조계종 교육원 불학연구소에서 펴낸 <간화선>에서는 “간화선은 조사선(祖師禪)의 핵심을 가장 잘 간직하고 있는 수행법”이라며 “한국 불교가 자랑하는 최고의 이상이자 목표인 ‘깨달음’으로 가는 길”이라고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마성 스님은 올해 초 조계종 총무원이 올해의 역점 사업으로 ‘수행결사’를 제안한 사실을 상기하며, 수행 결사 제안이 조계종의 대표적 수행법인 간화선에 문제가 있기 때문이 아닌가라고 반문했다. 그는 이와 함께 “간화선을 통해 수행한 스님들은 얼마나 많이 깨달음을 이루었는가?”라며 간화선의 깨달음에 대해 근본적인 의문을 제기했다.

마성 스님은 도법 스님(조계종 자성과쇄신결사 추진본부장)의 글을 인용, 통합종단 출범 이후 지난 50여년간 조계종단 출가자 50여만명 가운데 깨달음에 이른 수행자는 20여명에 불과하다며 “간화선 수행을 통해 목적을 달성한 이는 거의 없다”고 밝혔다. 한국불교가 최고의 수행법으로 내세우는 간화선의 성적 치고는 초라하기 그지 없다. 마성 스님은 간화선 수행법은 물론 간화선 수행자의 태도에 문제가 적지 않다고 지적했다.

불교는 계(戒:계율)·정(定:참선)·혜(慧:지혜) 삼학(三學)의 일치를 추구하는 종교다. 그러나 한국 불교, 특히 간화선의 수행은 계율을 소홀히 하고 참선과 지혜를 통한 깨달음을 추구한다. 이 때문에 스님의 수행과 생활이 불일치되는 경향이 종종 나타난다.

마성 스님은 “선방 스님들마저 수행과 생활이 일치하지 않는 속에서 재가불자가 일생생활을 하면서 화두를 참구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며 간화선의 대중화에 회의를 표시했다.

마성 스님은 ‘깨달음 신비주의’도 간화선 수행의 문제라고 비판했다. 그는 “한국 불교에서는 깨달음의 정의가 정립되어 있지 않을 뿐 아니라 신비화되어 있다”며 깨달음을 ‘신비 체험’과 동일시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묵언정진(침묵 수행), 장좌불와(오랫동안 눕지 않고 수행), 동구불출(수행하는 선방이나 토굴 밖으로 나가지 않음) 등이 수행의 최고경지로 받아들여지는 것은 이러한 신비주의와 관련이 있다.

간화선 수행의 문제점은 조계종단 내부에서도 제기됐다. 지난달 28일 조계종 교육원 주최로 열린 ‘현대 명상문화와 한국 선(禪) 문화’ 토론회는 요가, 단전호흡 등의 명상 수행법이 유행하는 가운데 간화선으로 대표되는 불교 수행법을 알리고 대중화하기 위한 취지에서 마련됐다.

기조 발제자로 나선 수불 스님(안국선원장)은 지난 20여년간 재가불자들에게 참선을 지도한 경험을 바탕으로 간화선을 미래불교의 대안으로 부족함이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명상이 흙탕물을 고요히 가라앉히는 것이라면 간화선은 흙탕물 자체를 뽑아버린다”며 명상 프로그램스트레스 해소, 건강 추구 등 세속의 목표를 추구한다면 간화선은 열반, 대자유 등의 긍극적인 깨달음에 목적이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토론자들은 간화선의 수행법, 수행자의 자세 등의 문제를 집중 제기했다. 월암 스님(한산사 용성선원장)은 “한국 간화선의 문제는 오직 화두에만 매달리면 된다는 깨달음 제일주의에 빠져 무사안일에 침잠하고 있다는 점”이라며 좌선 형식주의에서 탈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를 위해 그는 선(禪)의 이론을 정립하고 간화선 전문인력양성기구를 설립할 것을 제안했다.

김태완 무심선원장은 “조계종은 선종을 표방하면서 선에 대한 교육이 충분치 않다”며 선 교육을 체계화할 것을 제안했다. 이제열 법사는 “선 수행자들의 경전무용론이나 기본 교설에 대한 공부 없이 신도들에게 화두를 던지고 깨달아보라는 식의 방법은 재고되어야 한다”며 선의 대중화를 위해서는 간화선을 고집할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최근의 간화선 논쟁은 아직 간화선 폐기나 무용론으로까지 나아가지는 않고 있다. 그러나 전통 간화선이 시대정신과 동떨어져 ‘천년 전의 죽은 이야기’가 된 것 아니냐는 비판이 높다. 월암 스님은 “시대의 절박한 문제의식이 없는 화두는 효용가치가 없다”며 “지금 여기 존재 자체의 실존적 문제에서 화두를 잡고 수행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경향신문 10월13일 문화란 기사입니다. 우리가 깨달았다는 것이 실제로는 식근의 작용인 경우가 많아서 견성을 했다고 해도 여전히 식근의 어른거리는 빛을 착각한 것일 수 있습니다.
이 모든 난관을 다 뚫고 대오각성을 하는 사람은 0.00004%밖에 되지 않는다는 통계가 나옵니다. 그것도 산속에서 오로지 화두만 들고서 말입니다. (속세에서 성공한 사람은 있는지 모르겠네요.)
대종사께서 대원정각을 하시기 전날의 달과 대원정각을 하신 그날의 달은 무엇이 달랐을까요. 과연 다르기는 했을까요. 대종사님께서는 무엇이 달라지셨을까요. 50여만명은 무엇이 달라지지 못해서 견성을 못했을까요.
달을 잡으려니 손이 짧은 것을 알겠습니다. 손에 연장하나 쥔다고 달을 딸까요. 두개 세개 쥔다면 달을 딸까요. 화두가 아니라 천년, 만년 앉아서 숨쉬기를 잘한다고 성불할까요.

그렇게 살기를 바라며, 심월이 적조하기를 기원합니다.

이선조 11-10-25 04:37
 
우리 질문을 다시 해보며/ 깨닫음을 알아 봅시다.

대종사께서 대원정각을 하시기 전날의 달과 대원정각을 하신 그날의 달은 무엇이 달랐을까요. 과연 다르기는 했을까요. 대종사님께서는 무엇이 달라지셨을까요. 50여만명은 무엇이 달라지지 못해서 견성을 못했을까요.
달을 잡으려니 손이 짧은 것을 알겠습니다. 손에 연장하나 쥔다고 달을 딸까요. 두개 세개 쥔다면 달을 딸까요. 화두가 아니라 천년, 만년 앉아서 숨쉬기를 잘한다고 성불할까요
이선조 11-10-25 04:58
 
견성을 해야한다는 의미는 ?

목수가 먹줄을 얻은것 같고 / 자기의 재산을 모르고 살던 사람이 잃어버린 재산을 찾은것 같고/ 국문을 읽을 때 문자의원리를 아는 것과 같다. / 하신 말씀으로 성리를 연마 하고 의두를 해결해야 할 이유를 말씀 하셨지요

그 달이 그 달이지만 (깨닫전 달과 꺠달은후)
이원상을 각하면 --일원상법어 말씀을 참조하고 깨달음을 논한 법어 앞에 일원상 서원문을 참조해 보면 우리어리 석은 중생은  깨달음의 세계를 체 받아서 란 표현이 중요합니다.
체받는 공부가  지성으로 하느냐 못하느냐? 에 깨달음의 숙성 정도가 생긴다고 봅니다.
이선조 11-10-25 04:59
 
▒ 이선조 11-10-25 04:55     
어디고 빠르고 그차이 사이에 인과는 방법도 있고 믿음 분발 의문 정성의 힘과
불신 탐욕 나태 우치의 업력이라는 힘이 작용합니다. 온전 생각 속에서 가끔씩 수시로 일하고  선 하는 가운데 왜?  어떻게? 하며 연마하는 습관 단련이 생활화 하는 세상을
--기대 합니다.
이선조 11-10-25 05:01
 
. 이 기사를 읽으며 원불교 공부법에 더욱 감사를 느겼습니다.
대종사님 감사 합니다.
 
 

Total 21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조회
9 '실지 기도'에 대하여 (2) 김성연 2011-12-04 1864
8 화두수행 회의론- 경향신문 발췌 (4) 김명종 2011-10-16 2205
7 병들고 늙고 죽는 것이 고인가요 (3) 김명종 2011-08-11 2034
6 영지가 어디에 있는가 (5) 김명종 2011-07-27 2054
5 우리민족은 숫자에 대한 이해를 천부경을 통해서 해왔습니다. (1) 이선조 2011-07-21 1462
4 독송의 숫자? (3) 김성연 2011-07-17 1784
3 법의문답이 새롭게 만들어졌습니다. 관리자 2011-07-16 1338
2 법의문답이 새롭게 만들어졌습니다. 관리자 2011-07-16 1220
1 법의문답이 새롭게 만들어졌습니다. 관리자 2011-07-16 1275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