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불교 분당교당
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맵
분당교당비전 어린이마당 청소년마당 단회 보고서 자료실
  • 공부방
 
작성일 : 2016-09-17 15:30
[일반] 남자9단강연원고 / 공익심있는 사람으로돌리자 -김태식
 글쓴이 : 이선조
조회 : 4,012  

안녕하십니까? 남자9단 김태식입니다. 이번에 저희 단이 뽑은 강연주제는 일상수행의 요법 제9공익심 없는 사람을 공익심 있는 사람으로 돌리자.”입니다.

 

저희 단에 주어진 강연주제를 접하면서 이번에는 단원 누구를 뽑아 올려 보낼까?

하고 깊은 고민을 하다가 이번엔 그냥 단장인 제가 맡아서 강연준비를 스타트하는 걸로 했습니다. 제가 강연 초안을 만드는 와중에 저희 단 중앙 박도정씨도 공익심과 관련한 자료를 뽑아 프린트하여 제게 건네주었습니다. 각 단에 주어진 과제에 대해 단장을 도와 함께 해결하겠다는 중앙의 따사로운 마음이 느껴져 이번 강연을 준비하

는데 큰 힘이 되었습니다.

 

그렇게해서 작성된 강연자료 초안은 7월 단회때 류화석씨를 비롯한 단원님들이 좀 더

간결하게 다듬어 주었습니다. 함께 수고해준 저희 9단 단원님 모든 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저의 강연에는 원불교 홈 페이지에 나와 있는 내용들과 용어사전에 실려 있는 글들, 그리고 원불교 법무실에서 편찬한 일상수행의 요법 해설에서 발췌한 내용도 적지 않음을 알려드립니다. 그럼 부족하지만 저희 9단이 준비한 내용을 발표토록 하겠습니다.

 

먼저 강연주제 공익심 없는 사람을 공익심 있는 사람으로 돌리자.”일상수행의 요법9조에 들어있는데 이 조항이 차지하는 중요성 및 이 조항과 다른 8가지 조항과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 공익의 정의원불교에서 말하는 공익심이란 무엇인지도 살펴보면서 소태산 대종사님께서 왜 일상수행의 요법제일 마지막 조항인 9조에 공익심이란 내용을 넣어 주셨는지? 한번 곰곰히 생각해 보았습니다. 이 조항은 앞으로 우리가 원불교 교도로써 성불하기 위해서는 마음의 밑 바닥에 무엇이 기본으로 깔려야 하고 또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 지를 밝히신 것으로 이 부분에 대해서는 대산종사님이 하신 좋은 법문이 있어 이 법문을 인용하면서 끝맺을까 미리 저의 강연주제 방향을 알려 드립니다.

 

원불교 공부의 핵심은 사은사요의 신앙문과 삼학팔조의 수행문을 함께 병행,정진하여

마침내 원만구족하고 지공무사한 법신불일원상과 계합(契合)하여 성불제중 하자는 것

입니다. “공익심 없는 사람을 공익심 있는 사람으로 돌리자.”가 들어있는 일상수행의 요법은 비록 정전 수행편에 실려 있지만 사실 1조부터 9조까지의 내용을 살펴보면

1,2, 3,4조 까지는 삼학팔조의 수행문이요, 5,6,7, 8,9조는 사은사요의

신앙문입니다. 그래서 일상수행의 요법을 신앙과 수행을 함께 아우러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정산종사 법훈편에 평생 일상수행의 요법만 읽고 실행하여도 성불에 족하리라.”고 말씀하셨는데 이것만 보더라도 일상수행의 요법이 얼마나 어렵고 귀하고 중요한 것인지를 알 수 있습니다.

 

일상수행의 요법9가지 조항에서 맨 마지막으로 나온 것이 공익심 없는 사람을 공익심 있는 사람으로 돌리자인데 9조를 한 마디로 이야기 한다면 사은사요에서 사요중 공도자숭배에 해당되며 공도자 정신을 이어 받자는 말씀입니다.

 

공익심이라는 말은 먼저 나온 1조에서부터 8조에 이르는 모든 조항에 다 적용시킬 수가 있는 유일하고 특별한 메세지가 아닌 가 하는 것이 저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그렇다면 일반 사회에서 통칭되는 공익이란 무엇이겠습니까? ‘공익이란 개념을

한 마디로 정의하기는 매우 어렵겠지만 그래도 여러 정의를 종합하여 다시 구성해

보면 공익이란 불특정 다수인을 위한 보편적, 배분적인 이익으로 표현할 수가 있습니다.

 

공익심이란 개인적 사리욕구 추구에서 벗어나 사회, 국가, 세계등 전체 인류의 이익을 앞세우는 마음이요, 소아를 버리고 대아를 발견하여 헌신 봉공하는 마음

입니다. 공익심이 깊은 민족일수록 문화 민족이요, 선진국 건설을 할 수 있습니다. 공익심은 개인을 구제하는 길이요, 사회, 국가, 세계의 질서와 평화를 유지하는 길이며 모든 인류가 함께 잘 살게되는 마음입니다.

 

그렇다면 원불교에서 말하는 공익심이란 무엇이겠습니까?

소태산 대종사님은 육대요령에서 약소대중이 기거동작의 방향로를 모르고 도로에서 방황하는 이때에 공익기관을 확장하야 약소대중의 진로를 개척하자고 하셨습니다. 대종사님은 어렵고 힘들게 사는 사람들 곧 약소대중이 생활의 방향로를 모르고 방황하고 있을 때, 이러한 사람들을 잘살게 하는 것이 곧 공익심 있는 사람이라고 했습니다.

 

또 대종경 교의품 34장에서 지금 세상은 어떠한 병이 들었는가. 첫째는 ∽∽∽

여섯 째는 공익심 없는 병이니 과거 수 천년 동안 내려온 개인주의가 은산철벽같이 굳어져서 남을 위해 일하려는 사람은 근본적으로 드물 뿐만 아니라 일시적 명예에 끌려서 공중사를 표방하고 무엇을 하다가도 다시 사심의 발동으로 그 일을 실패중지하여 이로 말미암아 모든 공익기관이 거의 피폐되는 현상이라 이것이 곧 큰 병이니라.”라고 말씀하셨습니다.

 

대종사님께서는 돌아오는 세상의 병맥을 여러 가지로 진단하셨는데 그 중에서 공익심에 병이 든 문제를 가장 중요하게 말씀해 주셨습니다.

또한 인생의 요도와 공부의 요도 양대요도를 공익심으로 결론을 지워 주셨습니다.

 

 

공익심 없는 사람을 공익심 있는 사람으로 돌리는 것은 우리 스스로의 공부표준이기도 하지만 지금 이 세상을 향해서 공익심을 진작시켜주는 시급한 일이기도 합니다. 이제 인권시대가 열리고 자유가 팽배해 지면서 자칫하면

개인주의로 흘러가고 이기주의로 전략되는 현상이 난무해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세상을 위해서 어떻게 공익심 없는 사람을 공익심 있는 사람으로 돌릴 수 있을 건인지가 우리 교단의 과제라고 생각됩니다.

 

앞으로는 이윤만 추구하고 공익성을 저해하는 사업은 설 땅이 없게 될 것 입니다. 공익정신이 얼마나 폭 넓고 공익가치가 얼마만큼 높느냐에 따라 그 사업의 성공여부가 좌우됩니다. 사사로운 마음으로 세상을 살아서 출세하는 것이 아니라 공익심을 가지고 처세를 해야 세상에서 인증 받아 역할을 하는 시대가 도래하고 있습니다. 자기 자신의 사사로운 것을 전부 희생해서만이 공을 위한다기보다 오히려 공을 위해 일을 하여 공이 살아나면 내가 살게되고 내가 살아나면 공이 살아난다는 이런 정신으로 세상을 향도해 나가야 좋을 것 같습니다.

 

공심은 도덕에서 표출되기 때문에 도덕성 회복은 참으로 중요합니다.

소태산 대종사님은 벌써 백 년전에 과학과 물질세력이 급부상으로 인한 소용돌이에 속에 날로 미약해지는 인간의 정신세력이 그 소용돌이의 늪에 빠지어 헤어나오지 못함을 개탄하시고 도덕으로 축을 세우시고 과학등 물질문명을 적절히 활용하여 주객이 전도되지 않고자 개교 표어를 물질이 개벽되니 정신을 개벽하자.”고 하고 진리적 종교의 신앙과 사실적 도덕의 훈련으로써 정신의 세력을 확장하고, 물질의 세력을 항복받아 파란고해의 일체생령을 광대무량한 낙원으로 인도하고자 하신 것입니다. 대종사님은 대각하신 성자이므로 이러한 선견지명이 있으셨다고 보입니다.

 

끝으로 앞으로 우리가 원불교 교도로써 어떤 마음자세로 살아가야 하는 지에 대해 잘 설명해주신 대산종사법어 제15 경세편에서 하신 말씀을 전하면서 저의 강연을 마칠까 합니다. “우리가 목적하는 제생의세의 대도정법은 먼저 그 뿌리를 찾아 더욱 깊고 튼튼하게 가꾸어야 할 것인 바, 세상의 뿌리는 도덕이요, 도덕의 뿌리는 회상이며, 회상의 뿌리는 불보살이요, 불보살들의 뿌리는 마음공부임을 알아서 이 마음공부로 도덕을 살리고 세상을 구원하는 근본을 삼아야 할 것이니라.”

 

마음공부 잘 합시다. -감사합니다-


 
 

Total 189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일반] 원기 103년 교리퀴즈법회 기출문제(대종경… 윤현석 2018-11-30 7525
189 [일반] 원기 103년 교리퀴즈법회 기출문제(대종경… 윤현석 2018-11-30 7525
188 [자유공부] 원기102년 정전교리퀴즈대회 기출문제 호천 2017-12-15 2693
187 [자유공부] 경전 봉독 진도표 윤은솔 2017-12-07 3328
186 [자유공부] '대종사 10상'을 정리하신 분은 누… 이대연 2017-07-12 4208
185 [일반] 남자9단강연원고 / 공익심있는 사람으로… 이선조 2016-09-17 4013
184 [일반] 마음이 부처라 했으니 그무슨뜻인가 -----… 이선조 2016-09-17 3821
183 [일반] 김영랑법을 들여다보다 관리자 2016-09-04 4001
182 [자유공부] 기타 교리도들 김성연 2016-08-09 3990
181 [일반] 첨부 과거 교리도 김성연 2016-08-09 3935
180 [일반] 수정 교리도 (1) 김성연 2016-08-09 4166
179 [일반] 영주를 바칩니다. 이선조 2016-04-05 4093
178 [일반] 원기101년 분당교당 기도문 이선조 2016-01-06 4368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