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불교 분당교당
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맵
분당교당비전 어린이마당 청소년마당 단회 보고서 자료실
  • 좋은글퍼오기
 
작성일 : 2014-06-21 19:08
공부란 몸, 그 인격 전체를 닦는 것이다(도올 김용옥교수 글
 글쓴이 : 이선조
조회 : 2,893  

공부란 몸, 그 인격 전체를 닦는 것이다(도올 김용옥교수 글)

 

 

혁신교육감 시대를 위한 도올의 교육입국론 l 공부론

우리말에 공부라는 말이 있다. 공부라는 말은 실제로 우리나라 사람들이 교육을 생각할 때, 그 함의의 99%를 차지한다. 나의 자녀를 교육시킨다는 말은 공부시킨다는 말과 거의 같다. 나의 자녀에 대한 자랑도 우리 아이는 공부를 잘해요라는 명제로 표현된다. “공부를 잘한다는 뜻은 과연 무엇일까?

공부를 잘한다는 의미를 복잡하게 해석할 필요는 없다. 우리 일상언어의 가장 평범한 의미체계를 정직하게 밝히는 것이 상책일 것이다. 그것은 학교 시험 점수가 높다는 뜻이다. 우리 아이 공부 잘한다는 의미에 실제로 딴 뜻이 없다. “학교 시험 점수가 높다는 것은 대학입시에 유리하다는 뜻이고, 대학입시에 유리하다는 것은 서울의 몇몇 일류대학에 입학할 가능성이 높다는 뜻이다. 우리의 파란만장한 인생역정을 생각하고 저 현묘한 허공에 무한히 펼쳐진 갤럭시를 생각할 때, “공부가 겨우 요따위 밴댕이 콧구멍만한 서울의 시공에 집약된다는 것은 감내하기 어려운 위선이요 치졸함이건만, 우리 5천만 동포의 현실적 가치관은 공부의 다른 의미를 허용하지 않는다.


그런데 한번 생각해보자! 공부의 본래적 의미를! 공부를 한자로 쓰면 工夫가 된다. 이것은 아무리 뜯어보아도 그 자형에서 공장 인부정도 이상의 의미를 발견할 수 없다. 참으로 이상하다! 그런데 이 工夫는 우리 현대어에서 실제로 영어의 “to study”라는 말과 상응한다. 그 라틴어 어원인 “studēre”학문을 한다는 뜻으로, 무엇인가를 열심히 노력해서 습득한다는 의미를 갖는다. 그런데 그것은 실제로 개념적 지식의 한계를 넓힌다는 뜻으로 인간 이성의 확충이라는 의미와 관련되어 있다. 엘리트주의적 함의를 갖는다는 뜻이다.


그런데 동양 삼국의 서양언어 번역이 일치하는 경우가 허다한데, 스터디의 번역어는 일본에서는 벤쿄오스루”(勉強する)

로 되어 있고, 중국어에서는 니엔수”(念書)로 되어 있다. 일본말의 벤쿄오스루억지로 힘쓴다는 뜻이니, 사실 공부라는 것이 억지로 해야만 하는 괴로운 것이라는 매우 정직한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니엔수책을 읽는다는 뜻이다. 실제로 스터디의 실제 행위 내용을 정확히 표현한 말이다. 예로부터 중국에서는 선비를 뚜수르언”(讀書人)이라고 불러왔던 것이다. “스터디의 번역어로서는 일본어나 중국어가 더 직접적이고 구체적이라 할 것이다.


그런데 왜 한국만이 유독 공부”(工夫)라는 요상한 자형을 선택했을까? 일본어나 중국어에는 공부라는 말이 없을까? 물론 있다! 그러나 그 의미는 스터디와는 거리가 먼 다른 함의를 지니고 있다. 일본어의 쿠후우스루”(工夫する)요리조리 궁리하고 머리를 짜낸다는 뜻이다. 그리고 중국어의 工夫는 그것을 과거의 웨이드자일시스템으로 표기하면 “kung-fu”가 되는데, 그것을 그냥 표기된 영어로 발음하면 쿵후가 된다. 다시 말해서 중국말의 공부는 이소룡이나 견자단이 펼치는 쿵후,” 즉 무술이 되는 것이다. 그런데 우리말의 공부의 원의는 사실 중국어의 쿵후가 보존하고 있는 의미를 계승한 것이다.


工夫라는 글자는 선진 문헌에는 나타나지 않으며, 당나라 때 고승들의 어록에 처음 등장하는데, 당대에 이미 구어로서 정착된 것으로 간주된다. 그런데 의 약자이고, “의 약자이다. “工夫功扶를 의미한다. 무엇인가를 열심히 도와서() ()을 성취한다는 뜻이다. 우리가 흔히 쓰는 성공한다는 말도 단순히


 
 

Total 189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퍼와서 사용하기 공부 (2) 운영진 2008-07-19 14592
공지 본 게시판은 이렇게 사용합니다. (1) 운영진 2008-06-19 15124
189 좌선 수행에 대한 신박한 관점 하나 이인국 2024-02-01 130
188 우세관 교무님 글중에... 임성명 2016-06-16 2264
187 코이의 법칙 (1) 이선조 2016-01-13 2991
186 오늘을 사랑하라. (3) 수산 2016-01-10 2626
185 죽음에 대한 준비 (1) 이선조 2015-12-26 2267
184 감사의 효과 (2) 강자현 2015-07-15 2510
183 담쟁이---우리 100년의 담을 담쟁이처럼 ---… (2) 이선조 2015-02-09 2422
182 매일 행운을 만드는법 5 이선조 2015-01-27 2448
181 조국 살린 기독교와 죽인 기독교 이선조 2014-06-21 2417
180 공부란 몸, 그 인격 전체를 닦는 것이다(… 이선조 2014-06-21 2894
179 꼭 안아주세요. (1) 이선조 2014-06-21 2208
178 우리가 꼭 지켜야 할 일. 임성명 2014-04-19 31941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