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불교 분당교당
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맵
분당교당비전 어린이마당 청소년마당 단회 보고서 자료실
  • 원불교FAQ
 
작성일 : 2008-07-31 20:18
7. 원불교는 어디에 있나?
 글쓴이 : 운영진
조회 : 3,099  
저자거리의 종교

 "원불교가 어디에 있습니까?" 라는 질문을 받으면, 그때마다 참 난처한 생각이 들곤 한다. 물론 대부분의 질문들이 교화의 중심지인 교당의 위치를 묻는 말임에 분명하지만 기실은 원불교 신앙의 대상이 무소부재한 것이고 보면 이 세상 어디든 교당 아닌 곳이 없기 때문이다.

 원불교의 교화활동이 이뤄지는 장소는 주로 교당이다. 교당은 기독교의 교회나 불교의 사찰, 포교당과 같은 기능을 하는 곳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교당은 사찰과는 달리 교도들의 생활터전에 함께 자리하고 있다는 특징을 지닌다. 물론 기독교나 가톨릭 등의 교회는 예전부터 그래왔고 불교 또한 최근에 와서는 도시의 한 중심가에 포교당을 만들기도 하는 실정이니 지금에 와서야 그것이 별다른 특징이라 할 수 없을 것 같다.

 하지만 교단 초창기 소태산 대종사 박중빈이 교당을 사람들의 생활터전과 밀접한 자리에 위치하도록 한 것은 원불교 교법정신의 중요한 한 대목이다.

 소태산 대종사는 당시 불교의 모습을 보면서 "종교는 인간을 교화시키기 위한 것인데 인간이 없는 산간에 교당을 두면 세간생활에 분망한 사람들이 어느 여가에 세간을 벗어나 그 가르침을 받을 것인가. 인간을 교화시키기 위한 교당이라면 마땅히 그들의 생활터전과 가까워야 하고 수도하는 처소도 신자를 따라 어느 곳이든지 설치되어야 한다."고 견해를 밝히고 있다. 모름지기 교당이란 인간 삶의 현장에 자리잡고 종교적 기능을 다해야 한다는 말이다.

 좀 과장된 표현일 수도 있으나 깊은 산 명당에는 어김없이 사찰이 위치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어떻게 그렇게 자리를 잘 잡았는지 경탄스러울 때가 많다. 경관도 경관이려니와 풍수지리에도 일가견이 있는 스님들이 터를 잡았으니 절은 산으로 인해 빛나고 산 역시 절로 인해 빛난다.

 그동안 사찰이 있어 깊은 산 명당에서 정신적 샘물을 퍼 올려 주었으니 숱한 내우외환에도 우리나라가 이렇게 지탱되어오지 않았나 싶다.

 절에 가는 길은 운치 있는 산길이고 땀흘려 도착한 절에서 맑은 약수로 목을 축이고 대웅전에 들어가 큰 절을 세번 올리고 나면 맑은 바람 퍼지는 풍경소리, 목탁소리, 향내음은 속진 번뇌를 단숨에 씻어가 버린다. 답답한 주택가 골목길에 위치한 교당의 모습이나 시끄러운 상가건물에 전세로 힘겹게 자리잡은 교당의 모습을 바라다보면 산사의 한가로움과 넉넉함, 고즈넉함에 대한 그리움이 엄습할 때가 있다.

 하지만 경치를 따지지도 않고 명당을 따지지도 않는 원불교의 교당 터잡기를 생각하노라면 떠오르는 글귀가 있다. "가승(假僧)은 입산(入山) 하고 진승(眞僧)은 하산(下山)한다"는 옛스님의 말씀과 "중은 산에 있는 것이다"라는 성철 스님의 말씀이다. 두 입장은 극명한 대립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를 모두 충족시키려면 입산도 하산도 못하고 엉거주춤하든지 입산과 하산을 계속 반복하다가 가랑이가 찢어지든지 해야 한다.

 그러나 입산과 하산은 가승과 진승을 구분하는 잣대이기보다는 실은 상구보리 하화중생의 단계적 지향을 나타낸 말이거나 공부(理)와 일(事), 순수와 참여, 보수와 진보의 또 다른 표현은 아닐까.

 이런 관점에서 본다면 원불교는 분명 하산의 입장에 선다. 원불교의 여러가지 활동이 이루어지는 건물인 교당은 주로 저자거리에 있기 때문이다.

 원불교에서도 경치 좋은 한가한 곳에 여러 훈련원과 요양시설이 있고, 불교도 많은 포교당이 저자거리로 전진배치(?)되고 있다. 이제 건물이라는 하드웨어의 자리가 어디에 있는지를 가지고 이러쿵 저러쿵 말하기에는 시대의 변화가 너무 빠르다. 이 시대의 논의는 차라리 앞서 이야기한 터 잡기의 철학(?)에 초점 맞춰져야 할 일이다. 왜 생활의 중심지에 교당을 두라고 했는지 그 본래 목적에 충실한 기능을 실행하고 있는지를 눈여겨 볼 일이다.

 교통과 통신의 눈부신 발달은 종교적 시설의 위치가 가지는 경향성들을 무너뜨리고 있다. 이제 그 시설의 안에 있는 사람의 마음의 경향성이 문제인 셈이다.

 
 

Total 111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조회
111 1. 개교(開敎)의 동기(動機)는? 운영진 2008-07-31 3697
110 2. 신앙의 대상은? 운영진 2008-07-31 3256
109 3. 원불교의 창시자는 누구인가? 운영진 2008-07-31 3589
108 4. 원불교는 언제 생겼나? 운영진 2008-07-31 3144
107 5. 원불교는 어디에서 발생했나? 운영진 2008-07-31 2898
106 6. 원불교와 불교의 같은 점, 다른 점은? 운영진 2008-07-31 3621
105 7. 원불교는 어디에 있나? 운영진 2008-07-31 3100
104 8. 원불교에서는 무엇을 가르치는가? 운영진 2008-07-31 2837
103 9. "○"은 무엇인가? 운영진 2008-07-31 2991
102 10. "○"은 어디에 있나? 운영진 2008-07-31 2755
101 11. 원불교에서 사용하는 용어풀이 운영진 2008-07-31 3949
100 1. 나만 착하면 되지 무엇 때문에 교당을 … (2) 원불교 2008-06-23 3135
99 2. 종교인들은 더 위선적인 것 같아요? 원불교 2008-06-23 2905
98 3. 많은 종교 중에 왜 원불교를 다니나요? 원불교 2008-06-23 2987
97 4. 경제적 부담이 될 것 같아서요 원불교 2008-06-23 3002
96 5. 괴로운 일이 너무 많아서 교당에 못 나… 원불교 2008-06-23 2861
95 6. 교당에 잘 다니는 사람들이 불행한 일… 원불교 2008-06-23 2676
94 7. 마음으로만 믿으면 되지 꼭 교당에 다… 원불교 2008-06-23 2562
93 8. 일요일 하루만이라도 편하게 쉬고 싶습… 원불교 2008-06-23 2702
92 9. 계문을 지켜야 한다는 것이 부담스럽습… 원불교 2008-06-23 2583
91 10. 종교에는 관심 없어요 원불교 2008-06-23 2724
90 11. 생활이 복잡해서 정리한 다음에 교당… 원불교 2008-06-23 3153
89 12. 죽으면 끝인데 법신불(부처님)은 믿어… 원불교 2008-06-23 3024
88 13. 나쁜 사람이 더 잘 사는데 법신불(부처… 원불교 2008-06-23 3013
87 14. 원불교 경전은 무엇인가요 원불교 2008-06-23 3594
86 15. 신앙 생활을 시작한다고 해도 잘 할 자… 원불교 2008-06-23 2627
85 16. 다른 종교를 믿고 있습니다 원불교 2008-06-23 2905
84 17. 신앙 생활을 않고도 잘 살았는데 교당… 원불교 2008-06-23 2465
83 18. 우리 집안은 대대로 믿는 종교가 있습… 원불교 2008-06-23 2461
82 19. 종교는 불필요한 낭비 기관이라고 생… 원불교 2008-06-23 2360
81 20. 헌공금은 얼마나 내야 하나요 (1) 원불교 2008-06-23 3232
80 21. 교당은 나가지 않지만 염불ㆍ선ㆍ기도… 원불교 2008-06-23 2554
79 22.법신불께서 원하는 것을 들어주신다면 … 원불교 2008-06-23 2536
78 23 상사와 종교가 달라 종교 관계로 불편… 원불교 2008-06-23 2631
77 24. 신체 장애 때문에 용기가 나지 않습니… 원불교 2008-06-23 2521
76 25. 술과 담배를 못하게 해서 교당에 안 나… 원불교 2008-06-23 3241
75 26. 원불교의 중심 사상은 무엇인가요 원불교 2008-06-23 2855
74 27. 인과의 진리가 정말 있나요 원불교 2008-06-23 2726
73 28. 윤회가 정말 있나요 원불교 2008-06-23 2816
72 29. 어떻게 하면 신앙심이 살아날 수 있을… 원불교 2008-06-23 2553
71 30. 즐기기에도 시간이 부족한데 언제 교… 원불교 2008-06-23 2948
70 31. 계속 원불교를 다니라고 하니 매우 부… 원불교 2008-06-23 2424
69 32. 세상에 믿을 수 있는 것은 나 자신밖에… 원불교 2008-06-23 2619
68 33. 직장 때문에 일요법회에 참석할 수 없… 원불교 2008-06-23 2698
67 34. 종교는 사치라고 생각합니다. 원불교 2008-06-23 2456
66 35. 교당도 좋지만 학생은 공부가 먼저 아… 원불교 2008-06-23 2627
65 36. 죄가 많아서 교당에 가는 것이 망설여… 원불교 2008-06-23 2471
64 37.인연이 되면 언젠가는 믿게 되겠지요 원불교 2008-06-23 2565
63 38.믿으려면 일찍 믿어야지 너무 늦었어요 원불교 2008-06-23 2503
62 39.원불교를 믿음으로써 소외 당할까봐 걱… 원불교 2008-06-23 2516
61 40. 너무 깊이 빠져 들까봐 두렵습니다 원불교 2008-06-23 2458
60 41. 행사와 모임에 참석하라는 요구가 많… 원불교 2008-06-23 2785
59 42. 생업으로 계문을 범하게 되는 교당에 … 원불교 2008-06-23 2699
58 43. 교당이 멀어서 가기가 힘듭니다 원불교 2008-06-23 2552
57 44. 법신불(부처님)은 정말 우리의 기도를 … 원불교 2008-06-23 3136
56 45. 원불교 교도들은 사람이 좋은데 비결… 원불교 2008-06-23 2578
55 46. 대각개교절은 무슨 날인가요 원불교 2008-06-23 2527
54 47. 법인절은 무슨 날인가요 원불교 2008-06-23 3000
53 48. 교무님들은 결혼을 할 수 있나요 원불교 2008-06-23 2960
52 49. 여자 교무님들의 결혼 금지는 남녀 차… 원불교 2008-06-23 2925
51 50. 전무출신(專務出身)이란 어떤 분인가 원불교 2008-06-23 2858
50 51. 원불교는 창조론에 대해 어떤 입장을 … 원불교 2008-06-23 2428
49 52. 원불교에서는 선(禪)을 어떻게 하나요 원불교 2008-06-23 2914
48 53. 원불교는 어떤 부처님을 믿나요 원불교 2008-06-23 2780
47 54.원불교와 불교는 어떤 관계인가요 원불교 2008-06-23 2834
46 55. 소태산 대종사님을 왜 새 부처님이라… 원불교 2008-06-23 3450
45 56. 원불교는 언제 어느 곳에서 시작 되었… 원불교 2008-06-23 2474
44 57. 왜 원불교라고 하였나요 원불교 2008-06-23 2655
43 58. 원불교 개교의 동기는 무엇인가요 원불교 2008-06-23 2976
42 59. 교당에서 교무님들은 무슨 일을 하시… 원불교 2008-06-23 2484
41 60. 원불교 법당에는 왜 불상이 없나요 원불교 2008-06-23 3016
40 61. 원불교에서는 제사를 어떻게 지내나요 원불교 2008-06-23 4269
39 62. 천도재를 지내면 죽은 사람이 정말 왕… 원불교 2008-06-23 3140
38 63. 원불교인의 하루 일과는 어떻게 이루… 원불교 2008-06-23 3007
37 64. 교당은 고리타분하고 교도들은 재미가… 원불교 2008-06-23 2346
36 65. 교화단은 무엇 하는 모임인가요 원불교 2008-06-23 2601
35 66. 원불교에서는 불공을 어떻게 하나요 원불교 2008-06-23 2913
34 67.심고(心告)란 무엇인가요 원불교 2008-06-23 2634
33 68. 수행은 왜 해야 하나요 원불교 2008-06-23 2366
32 69. 화두(話頭)란 무엇인가요 원불교 2008-06-23 2618
31 70, 사은(四恩)은 무엇인가요 원불교 2008-06-23 2636
30 71. 삼학(三學)은 무엇인가요 원불교 2008-06-23 3112
29 73. 원불교의 인사법을 알고 싶어요 원불교 2008-06-23 3003
28 74. 원불교와 천도교 증산교는 어떤 관계… 원불교 2008-06-23 3749
27 75. 정말 극락과 지옥이 있을까요 원불교 2008-06-23 2910
26 76. 수행을 많이 하면 사리가 나온다던 데… 원불교 2008-06-23 2639
25 77. 교도가 지켜야 할 것들에 대해서 말씀… 원불교 2008-06-23 2638
24 78. 교무님이 되려면 어떤 교육 과정을 거… 원불교 2008-06-23 2726
23 79. 신앙 생활은 여자들이나 하는 것이지… 원불교 2008-06-23 2553
22 80. 종교 인구가 늘어난 만큼 범죄는 줄어… 원불교 2008-06-23 2252
21 81. 원불교가 성장하고 있는 비결은 무엇… 원불교 2008-06-23 2534
20 82. 원불교도 신을 믿나요 원불교 2008-06-23 2576
19 83. 원불교는 유심인가요, 유물인가요 원불교 2008-06-23 2517
18 84. 포교를 위해 방송·언론에 홍보를 해… 원불교 2008-06-23 2453
17 85. 후천 개벽이란 무엇을 말하며 그 시기… 원불교 2008-06-23 3358
16 86. 원불교는 공산주의에 대해서 어떤 입… 원불교 2008-06-23 2696
15 87. 일제하에서 원불교는 민족해방을 위해… 원불교 2008-06-23 2755
14 88. 원불교는 종말론에 대해 어떻게 생각… 원불교 2008-06-23 2429
13 89. 원불교는 통일에 대해 어떤 생각을 가… 원불교 2008-06-23 2612
12 90. 원불교에 가면 무엇을 배우나요 원불교 2008-06-23 2522
11 91. 원불교는 낙태를 어떻게 생각하나요 원불교 2008-06-23 2667
10 92. 유일신(하나님)과 법신불은 어떤 차이… 원불교 2008-06-23 2747
9 93. 원불교는 이혼에 대해 어떤 생각을 가… 원불교 2008-06-23 3063
8 94. 원불교는 환경 오염에 대해 어떤 입장… 원불교 2008-06-23 2477
7 95. 부모를 모시지 않으려는 세태에 대해 … 원불교 2008-06-23 2425
6 96. 새벽종은 33번 저녁종은 28번을 치는데 … 원불교 2008-06-23 2989
5 97. 원불교는 인권 문제에 대해 어떤 생각… 원불교 2008-06-23 2657
4 98. 원불교를 믿으면 신통력을 얻을 수 있… 원불교 2008-06-23 2813
3 99. 원불교에서는 어떤 사업들을 하고 있… 원불교 2008-06-23 2623
2 100. 원불교에서는 직업에 귀천이 있다고 … 원불교 2008-06-23 2872
1 101. 어떻게 하면 죽음의 길을 잘 다녀올 … 원불교 2008-06-23 3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