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불교 분당교당
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맵
분당교당비전 어린이마당 청소년마당 단회 보고서 자료실
  • 원불교FAQ
 
작성일 : 2008-06-23 20:19
27. 인과의 진리가 정말 있나요
 글쓴이 : 원불교
조회 : 2,726  

인과의 진리를 대개 허황한 관념으로 생각하는 수가 있는데, 인과의 진리는 실재합니다.

어떤 사람이 가게 앞을 지나다가 진열된 물건을 보고서 갖고 싶다는 생각이 앞서서 예의와 염치가 없이 정당한 값을 지불하지 않고 가져간다면 분명 욕을 보든지 아니면 그에 상응하는 벌을 받게 될 것입니다.

이는 물건을 보고 일어난 잘못된 생각이 인(因)이 되어, 그 결과가 욕을 보거나 벌을 받는 것으로 나타난 것입니다. 농부가 열심히 땀흘려 농사일을 하면 가을에 수확을 많이 할 수 있는 것도 다 인과에 의한 축복인 것입니다.

고창에 김양배라고 하는 사람이 있었습니다. 그는 어려서 갑자기 부모님이 모두 세상을 떠나서 의지할 곳이 없어졌습니다.
이때 이웃 마을에 과수댁 한 분이 있었는데, 어린 김양배를 데려다 일도 시킬 겸 같이 살게 되었습니다. 말하자면 꼬마머슴으로 살게 된 것입니다.
그가 장성하자 과수댁은 몸소 신부감을 물색하여 결혼을 시키기로 하였습니다.
결혼 날이 되어 김양배는 그곳에서 10리나 떨어진 마을에 있는 신부댁으로 장가를 갔습니다. 장가드는 날이었기 때문에 잔치야뭐야 하여 밤 1시경까지 일을 끝마치고는 늦게 잠자리에 막 들려고 하는데, 우두둑하면서 빗방울이 떨어지기 시작하더니 주룩주룩 비가 내리는 것이었습니다. 마침 심한 봄 가뭄이 계속되던 때라 이 비를 놓치게 되면 농사를 망칠 우려가 있었습니다.
김양배는 장가간 첫 날 밤 그것도 한 밤중임에도 불고하고, 그곳에서 10리나 떨어져 있는 과수댁의 논에까지 달려와서는 논마다 물고를 막고 처가에 돌아오니 날이 밝아오고 있었습니다.
한편 과수댁은 머슴을 장가 보내느라고 하루 종일 종종걸음을 치고 고단하여 세상 모르고 자고 일어나 보니 밤에 단비가 내린 뒤였습니다. ‘재수 없으면 뒤로 넘어져도 코가 깨진다더니, 하필 오늘 비가 올게 뭐람’하면서 삽을 들고 논에 나가보았습니다.
그런데 이일이 웬일입니까? 다른 사람들이 논에는 물이 별로 없는데 자기의 논에만 물이 가득했습니다.
‘참 이상도 하다. 도깨비의 장난이란 말인가?’ 알 수 없는 노릇이었습니다. 날이 가물다 비가 오면 농사가 잘 되는 법이라, 그 해에는 다른 해보다 훨씬 많은 수확을 거두어 들였습니다.
여러 해가 지나도록 과수댁은 그때 논물을 누가 막았는지 궁금하였지만 알 수가 없었습니다.
그해에도 농사를 잘 지어놓고 칠월 백중날 밤 제사를 지내기 위해 음식을 장만하다가 과수댁은 무심코 ‘누가 그 물고를 막았을까.’하고 탄식하였습니다. 이 소리를 듣고 김양배의 부인이 빙긋이 웃었습니다.
이상히 여긴 과수댁이 다그쳐 묻자 그 부인은 할 수 없다는 듯이 신혼 첫 날 바의 일을 말하였습니다.
비로소 여러 해 동안 풀지 못했던 궁금증이 풀린 과수댁이 왜 그래 놓고도 한 번도 그 이야기를 하지 않았느냐고 하자, 김양배는 그저 빙긋이 웃기만 합니다. 과수댁은 그날 밤 잠을 자지 못하고 생각을 합니다. ‘만일 그 때 논물을 막아주지 않았으면 폐농은 면치 못했을 것이고 잘 해야 평년작을 넘지 못했을 것이다. 평년작을 했다고 가정하고 그 이상의 수확은 순전히 머슴 덕이다. 그러니 그것은 그 사람 앞으로 돌려주어야 한다.’ 이런 생각을 한 과수댁은 다음날 평년작 이상의 소출을 원금으로 이자를 계산해보니 270석이 되었습니다.
과수댁은 김양배 부부를 불러 놓고, “자네 덕분에 나는 이제 부자가 되었네. 더구나 그때 그토록 고마운 일을 해 놓고도 지금까지 말 한 마디 하지 않고 자네 부부가 이토록 내 살림을 열심히 해 주어 고맙네. 그런데 그 때 자네가 막아준 논물 덕분에 더 수확을 하게 된 것은 그것이 내 것이 아니라 자네 것이니 자네에게 되돌려 주겠네. 그때부터 계산해보니 270석이고 거기다 고마워서 내가 30석을 더 보태 300석을 자네에게 주겠네.”하는 것이었습니다.
잠들기 직전 그것도 장가든 첫날밤에 10리나 떨어진 먼 곳까지 가서 논에 물을 막고 온 고마운 마음씨가 몇 년 후에 쌀 300석이 되어 돌아온 것입니다. 이런 이치를 아는 사람은 그저 좋은 선업(善業)을 행하기에 노력할 뿐 그 댓가에 구애받지 않고 살아갑니다.<인과의 세계, 191쪽)

인과는 그 즉시 돌아오는 것도 있고, 곧바로 받지는 않아도 시간이 흐른 후에 받게 되는 경우도 있으나, 자기가 지은 업은 받드시 자기가 받게 됩니다. 내 것을 남에게 줄 수도 없고, 남의 것을 가져 올 수도 없으며, 더 주거나 덜 받을 수도 없어서 지은대로 받게 됩니다.


 
 

Total 111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조회
111 1. 개교(開敎)의 동기(動機)는? 운영진 2008-07-31 3698
110 2. 신앙의 대상은? 운영진 2008-07-31 3256
109 3. 원불교의 창시자는 누구인가? 운영진 2008-07-31 3590
108 4. 원불교는 언제 생겼나? 운영진 2008-07-31 3144
107 5. 원불교는 어디에서 발생했나? 운영진 2008-07-31 2898
106 6. 원불교와 불교의 같은 점, 다른 점은? 운영진 2008-07-31 3621
105 7. 원불교는 어디에 있나? 운영진 2008-07-31 3100
104 8. 원불교에서는 무엇을 가르치는가? 운영진 2008-07-31 2838
103 9. "○"은 무엇인가? 운영진 2008-07-31 2992
102 10. "○"은 어디에 있나? 운영진 2008-07-31 2755
101 11. 원불교에서 사용하는 용어풀이 운영진 2008-07-31 3949
100 1. 나만 착하면 되지 무엇 때문에 교당을 … (2) 원불교 2008-06-23 3135
99 2. 종교인들은 더 위선적인 것 같아요? 원불교 2008-06-23 2906
98 3. 많은 종교 중에 왜 원불교를 다니나요? 원불교 2008-06-23 2988
97 4. 경제적 부담이 될 것 같아서요 원불교 2008-06-23 3003
96 5. 괴로운 일이 너무 많아서 교당에 못 나… 원불교 2008-06-23 2862
95 6. 교당에 잘 다니는 사람들이 불행한 일… 원불교 2008-06-23 2677
94 7. 마음으로만 믿으면 되지 꼭 교당에 다… 원불교 2008-06-23 2563
93 8. 일요일 하루만이라도 편하게 쉬고 싶습… 원불교 2008-06-23 2703
92 9. 계문을 지켜야 한다는 것이 부담스럽습… 원불교 2008-06-23 2584
91 10. 종교에는 관심 없어요 원불교 2008-06-23 2724
90 11. 생활이 복잡해서 정리한 다음에 교당… 원불교 2008-06-23 3153
89 12. 죽으면 끝인데 법신불(부처님)은 믿어… 원불교 2008-06-23 3024
88 13. 나쁜 사람이 더 잘 사는데 법신불(부처… 원불교 2008-06-23 3014
87 14. 원불교 경전은 무엇인가요 원불교 2008-06-23 3595
86 15. 신앙 생활을 시작한다고 해도 잘 할 자… 원불교 2008-06-23 2627
85 16. 다른 종교를 믿고 있습니다 원불교 2008-06-23 2905
84 17. 신앙 생활을 않고도 잘 살았는데 교당… 원불교 2008-06-23 2465
83 18. 우리 집안은 대대로 믿는 종교가 있습… 원불교 2008-06-23 2461
82 19. 종교는 불필요한 낭비 기관이라고 생… 원불교 2008-06-23 2360
81 20. 헌공금은 얼마나 내야 하나요 (1) 원불교 2008-06-23 3233
80 21. 교당은 나가지 않지만 염불ㆍ선ㆍ기도… 원불교 2008-06-23 2555
79 22.법신불께서 원하는 것을 들어주신다면 … 원불교 2008-06-23 2537
78 23 상사와 종교가 달라 종교 관계로 불편… 원불교 2008-06-23 2632
77 24. 신체 장애 때문에 용기가 나지 않습니… 원불교 2008-06-23 2521
76 25. 술과 담배를 못하게 해서 교당에 안 나… 원불교 2008-06-23 3242
75 26. 원불교의 중심 사상은 무엇인가요 원불교 2008-06-23 2855
74 27. 인과의 진리가 정말 있나요 원불교 2008-06-23 2727
73 28. 윤회가 정말 있나요 원불교 2008-06-23 2816
72 29. 어떻게 하면 신앙심이 살아날 수 있을… 원불교 2008-06-23 2554
71 30. 즐기기에도 시간이 부족한데 언제 교… 원불교 2008-06-23 2948
70 31. 계속 원불교를 다니라고 하니 매우 부… 원불교 2008-06-23 2425
69 32. 세상에 믿을 수 있는 것은 나 자신밖에… 원불교 2008-06-23 2620
68 33. 직장 때문에 일요법회에 참석할 수 없… 원불교 2008-06-23 2699
67 34. 종교는 사치라고 생각합니다. 원불교 2008-06-23 2457
66 35. 교당도 좋지만 학생은 공부가 먼저 아… 원불교 2008-06-23 2628
65 36. 죄가 많아서 교당에 가는 것이 망설여… 원불교 2008-06-23 2472
64 37.인연이 되면 언젠가는 믿게 되겠지요 원불교 2008-06-23 2566
63 38.믿으려면 일찍 믿어야지 너무 늦었어요 원불교 2008-06-23 2504
62 39.원불교를 믿음으로써 소외 당할까봐 걱… 원불교 2008-06-23 2517
61 40. 너무 깊이 빠져 들까봐 두렵습니다 원불교 2008-06-23 2458
60 41. 행사와 모임에 참석하라는 요구가 많… 원불교 2008-06-23 2786
59 42. 생업으로 계문을 범하게 되는 교당에 … 원불교 2008-06-23 2699
58 43. 교당이 멀어서 가기가 힘듭니다 원불교 2008-06-23 2553
57 44. 법신불(부처님)은 정말 우리의 기도를 … 원불교 2008-06-23 3137
56 45. 원불교 교도들은 사람이 좋은데 비결… 원불교 2008-06-23 2579
55 46. 대각개교절은 무슨 날인가요 원불교 2008-06-23 2528
54 47. 법인절은 무슨 날인가요 원불교 2008-06-23 3001
53 48. 교무님들은 결혼을 할 수 있나요 원불교 2008-06-23 2961
52 49. 여자 교무님들의 결혼 금지는 남녀 차… 원불교 2008-06-23 2926
51 50. 전무출신(專務出身)이란 어떤 분인가 원불교 2008-06-23 2859
50 51. 원불교는 창조론에 대해 어떤 입장을 … 원불교 2008-06-23 2429
49 52. 원불교에서는 선(禪)을 어떻게 하나요 원불교 2008-06-23 2915
48 53. 원불교는 어떤 부처님을 믿나요 원불교 2008-06-23 2781
47 54.원불교와 불교는 어떤 관계인가요 원불교 2008-06-23 2835
46 55. 소태산 대종사님을 왜 새 부처님이라… 원불교 2008-06-23 3451
45 56. 원불교는 언제 어느 곳에서 시작 되었… 원불교 2008-06-23 2475
44 57. 왜 원불교라고 하였나요 원불교 2008-06-23 2656
43 58. 원불교 개교의 동기는 무엇인가요 원불교 2008-06-23 2976
42 59. 교당에서 교무님들은 무슨 일을 하시… 원불교 2008-06-23 2485
41 60. 원불교 법당에는 왜 불상이 없나요 원불교 2008-06-23 3016
40 61. 원불교에서는 제사를 어떻게 지내나요 원불교 2008-06-23 4270
39 62. 천도재를 지내면 죽은 사람이 정말 왕… 원불교 2008-06-23 3141
38 63. 원불교인의 하루 일과는 어떻게 이루… 원불교 2008-06-23 3008
37 64. 교당은 고리타분하고 교도들은 재미가… 원불교 2008-06-23 2347
36 65. 교화단은 무엇 하는 모임인가요 원불교 2008-06-23 2602
35 66. 원불교에서는 불공을 어떻게 하나요 원불교 2008-06-23 2914
34 67.심고(心告)란 무엇인가요 원불교 2008-06-23 2635
33 68. 수행은 왜 해야 하나요 원불교 2008-06-23 2367
32 69. 화두(話頭)란 무엇인가요 원불교 2008-06-23 2619
31 70, 사은(四恩)은 무엇인가요 원불교 2008-06-23 2637
30 71. 삼학(三學)은 무엇인가요 원불교 2008-06-23 3113
29 73. 원불교의 인사법을 알고 싶어요 원불교 2008-06-23 3004
28 74. 원불교와 천도교 증산교는 어떤 관계… 원불교 2008-06-23 3750
27 75. 정말 극락과 지옥이 있을까요 원불교 2008-06-23 2911
26 76. 수행을 많이 하면 사리가 나온다던 데… 원불교 2008-06-23 2640
25 77. 교도가 지켜야 할 것들에 대해서 말씀… 원불교 2008-06-23 2638
24 78. 교무님이 되려면 어떤 교육 과정을 거… 원불교 2008-06-23 2727
23 79. 신앙 생활은 여자들이나 하는 것이지… 원불교 2008-06-23 2554
22 80. 종교 인구가 늘어난 만큼 범죄는 줄어… 원불교 2008-06-23 2253
21 81. 원불교가 성장하고 있는 비결은 무엇… 원불교 2008-06-23 2535
20 82. 원불교도 신을 믿나요 원불교 2008-06-23 2577
19 83. 원불교는 유심인가요, 유물인가요 원불교 2008-06-23 2518
18 84. 포교를 위해 방송·언론에 홍보를 해… 원불교 2008-06-23 2453
17 85. 후천 개벽이란 무엇을 말하며 그 시기… 원불교 2008-06-23 3359
16 86. 원불교는 공산주의에 대해서 어떤 입… 원불교 2008-06-23 2696
15 87. 일제하에서 원불교는 민족해방을 위해… 원불교 2008-06-23 2756
14 88. 원불교는 종말론에 대해 어떻게 생각… 원불교 2008-06-23 2429
13 89. 원불교는 통일에 대해 어떤 생각을 가… 원불교 2008-06-23 2613
12 90. 원불교에 가면 무엇을 배우나요 원불교 2008-06-23 2522
11 91. 원불교는 낙태를 어떻게 생각하나요 원불교 2008-06-23 2667
10 92. 유일신(하나님)과 법신불은 어떤 차이… 원불교 2008-06-23 2747
9 93. 원불교는 이혼에 대해 어떤 생각을 가… 원불교 2008-06-23 3063
8 94. 원불교는 환경 오염에 대해 어떤 입장… 원불교 2008-06-23 2477
7 95. 부모를 모시지 않으려는 세태에 대해 … 원불교 2008-06-23 2425
6 96. 새벽종은 33번 저녁종은 28번을 치는데 … 원불교 2008-06-23 2989
5 97. 원불교는 인권 문제에 대해 어떤 생각… 원불교 2008-06-23 2657
4 98. 원불교를 믿으면 신통력을 얻을 수 있… 원불교 2008-06-23 2813
3 99. 원불교에서는 어떤 사업들을 하고 있… 원불교 2008-06-23 2623
2 100. 원불교에서는 직업에 귀천이 있다고 … 원불교 2008-06-23 2872
1 101. 어떻게 하면 죽음의 길을 잘 다녀올 … 원불교 2008-06-23 3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