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도재(薦度齋)는 열반인의 천도를 위하여 베푸는 법요 행사입니다.
사람이 열반하게 되면 그 영식은 대개 약 칠칠일동안 중음에 있다가 각기 업연을 따라 몸을 받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천도재를 모시고 49일 동안 주주 독경과 축원을 올려 청정일념을 챙기게 하고, 낙은 착심을 녹이게 하며, 선도수생의 인연을 깊게 하는 동시에 헌공 등으로써 영가의 명복을 빌고, 모든 관계인들로 하여금 이 기간에 추도거상(追悼居喪)의 예를 지키게 하는 것입니다.
천도재를 올리는 것은, 묘하게 서로 응하는 이치가 있어서 사람이 땅에 곡식을 심고 비료를 주면 땅도 무정한 것이요, 곡식도 무정한 것이지마는 그 곡출에 효과의 차이를 내는 것과 같이, 모든 사람이 열반인을 위하여 일심으로 심고를 올리고, 축원도 드리며, 헌공도 하고, 선지식을 통하여 설법을 하면 마음과 마음이 서로 통하고 기운과 기운이 서로 응하여 바로 천도를 받을 수도 있고, 설사 악도에 떨어졌더라도 차차 진급이 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또 헌공을 통하여 전생에 많은 빚을 벗어버릴 수도 있고 빚이 없는 사람은 복이 쌓이기도 합니다.
왕생극락하게 되느냐고 물으셨는데 극락이란 곳이 멀리 있는 것이 아닙니다. 이생을 마치고 중음에 잠시 머물렀다가 부처님의 법연으로 다시 태어나서 공부할 수 있다면 이보다 더 좋은 일이 어디 있겠습니까?
그렇기 때문에 원불교에서는 열반에 들면 49일간 천도재를 지내고, 열반 하신지 오래된 영가를 위해서 특별 천도재를 지내기도 합니다.
왕생극락은 죽은 후에 천도를 잘 받아 선연 따라 잘태어나서 행복한 삶은 사는 것 아니겠습니까? 대종사님께서는 죽은 후에 자손들에 의한 천도 발원도 중요하지만, 생전에 자신의 천도를 스스로 행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하셨습니다.
나이가 40이 넘으면 죽음의 보따리를 챙기기 시작하여야 죽어갈 때 바쁘지 않다고 하셨습니다.
우리는 생(生)이 사(死)의 근본이 되고 사가 생의 근본이 됨을 알아서, 부지런히 복 짓고 좋은 인연을 맺고 수행하는데 정성을 다해야 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