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불교 분당교당
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맵
분당교당비전 어린이마당 청소년마당 단회 보고서 자료실
  • 원불교FAQ
 
작성일 : 2008-07-31 20:20
5. 원불교는 어디에서 발생했나?
 글쓴이 : 운영진
조회 : 2,898  
성자의 나라

"신토불이(身土不二)"라는 말이 있다. 최근 우루과이라운드협정이 체결되고 WTO체제가 출범하면서 "우리의 몸에는 우리 것이 좋다"라는 인식이 널리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이런저런 광고문구에 신토불이라는 말은 약방의 감초 격으로 얼굴을 자주 내민다.

이제 농산물의 신토불이만이 아니라 정신적 신토불이를 외쳐볼 필요가 있다는 생각을 해본다. 우리 몸에 우리 농산물이 맞듯이 우리 정신에 맞는 그 무엇이 있지 않을까 하는 연상 작용에 힘입어.

원불교는 외국에서 건너온 종교가 아니라 지금으로부터 80년전 우리나라 호남지방의 한 궁촌벽지에서 태어난 순수 민족 종교이다. 한마디로 우리의 민족 정서에 뿌리박고 태어난 토종이라는 이야기다.

불교가 우리나라에 있어 최대의 종교로 자리잡고 있고 오랜 역사 속에서 민족 정서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기는 하지만 굳이 따지자면 외래 종교이며, 기독교 역시 개화기를 전후해서 전래되어 온 이래 불교에 버금가는 신도 수를 자랑하고 있고 그동안 한국 사회의 발전에 많은 역할을 해온 종교이지만 그 또한 외래 종교임에 틀림없다. 이들은 한국적 불교요, 한국적 기독교로서의 자기 정체성 확립을 위해 꾸준한 노력을 하고 있고, 우리 민족과 역사를 함께 해 온 과정에서 점차 토착화되어 온 것이 사실이다. 그래서 어쩌면 원불교보다 더 친근하고 자연스럽게 다가온다. 반면에 토종(?) 원불교는 낯설게 받아들여지고 있는 것 같아 안타깝다. 이제부터라도 우리 곁에서 자라온 원불교에 대한 바로알기를 통해서 그 낯설음을 걷어내는 작업에 동참하자는 이야기를 하고 싶다. 마치 인사가 늦어버린 이웃에게 늦게나마 인사를하듯.

조선조 말에 우리 나라에서 신흥한 종교로는 크게 동학, 증산교, 원불교가 있다. 모두 서세동점의 난국에 창교되어 우리 민족의 앞날에 대해 밝은 전망과 민중들의 삶에 새로운 희망을 제시하면서 발전된 종교들이다.

이들은 대부분 재래 불교의 폐해를 지적하기도 했고, 기독교를 서학(西學)이라고 부르며 그 극복을 외치기도 했으며, 모든 종교의 사상을 총섭하는 통합적 초월의 입장을 보이기도 했다.

특히 이들 중 원불교는 불교에 그 사상적 기반을 두고 불교의 변혁과 생활의 개혁 등을 외치며 발전해 왔다. 특히 여러 사상들에 대해 통합적이고 융통적인 사상체계를 형성하고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기도 하다.

동학혁명과 청일전쟁, 서구 열강과 일제의 침략, 그리고 민족분단으로 이어지는 근ㅑ현대사의 과정을 돌아보며 가끔 "온갖 모순과 상극적 현상이 집약된 듯한 이 한반도에서, 그것도 빈천하기 이를데 없었던 전라도 영광 땅에서 원불교가 탄생한 사실은 우리 민족에게 있어 어떠한 의미를 갖는 것일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여러 종교를 총섭하고 융통자재한 사상을 바탕으로 새로운 신앙과 수행법, 미래에 대한 새로운 전망을 제시한 원불교가 하필 이 시기, 이 땅에 태어난 사실은 분명 이 땅에서 새로운 인간들이 나와야 된다는 요청이고, 이 땅에서 계급, 민족, 국가, 사상의 장벽들과 모순들을 타파하고 그것들을 은혜롭고 슬기롭게 통합하고 녹여내는 새로운 움직임이 일어나야 한다는 운명적 요청인 것만 같다.

그리고 이 요청은 문제와 갈등의 와중에서 숱한 고통을 겪으며 그 해결을 위해 고민하던 주체들에 의해서 받아들여져야 했으니, 왜냐하면 그들이 누구보다 더 올바른 해답을 창출해 낼 수 있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이런 이유로 해서 소태산 대종사의 탄생과 원불교라는 새 종교의 출현이 이 땅에서 이루어짐은 새로운 종교적 지평 전개와 새로운 문명 창조라는 인류사적 과제의 한 장을 열어젖힌 일대 쾌거라 아니할 수 없다.

원불교의 80년을 돌아보면 민족적 상황에 능동적으로 역할하던 초기의 생생약동하던 모습이 최근에 들어 부분적으로 약화된 듯한 느낌도 있다. 그러나 80년의 일천한 역사를 가진 원불교는 그동안 괄목할 만한 교세의 신장을 이뤄왔고 종교 본연의 임무와 민족 종교로서의 역할 수행에 충실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특히 민족 종교의 후발주자인 점을 감안한다면 교화 교육 자선의 세 방면에 걸친 고른 활동은 세인들의 평가를 윗도는 것 같다.

어느 종교학자는 이런 말을 했다. "나는 미국 유학 시절에 원불교를 처음 접했다. 소태산 대종사의 사상을 처음 만났다. ⋯ 도대체 왜 이렇게 늦게서야 이런 위대한 스승과 사상을 알게되었는지 알 수 없었다. 인류의 위대한 스승이 우리 나라에 있었는데 한국에선 모르고 지내다가 미국 땅에서 발견하다니 ⋯"

원불교는 우리 나라에서 발상한 종교이다. 그래서 민족 종교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원불교라는 그릇의 크기는 이 우주를 담을 만 하다. 그래서 민족 종교라는 표현이 두드러지게 사용되지 않는것 같다. 하지만 앞으로 우리는 우리 나라에서 태어난 세계종교의 눈부신 성장을 보게될 것이다.

우리 민족의 종교이기에 믿어야 하고, 우리 민족의 프리미엄을 얹어 달라는 이야기를 하는 것은 아니다. 인류의 위대한 스승이 우리 말로 설교를 하고 우리가 먹는 밥을 먹으며 우리 옷을 입고 우리 땅을 밟고 새로운 세계의 건설을 외쳤다는 사실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자는 것이다.

원불교는 전라남도 영광군 백수면 길룡리에서 태어났다

 
 

Total 111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조회
111 1. 개교(開敎)의 동기(動機)는? 운영진 2008-07-31 3698
110 2. 신앙의 대상은? 운영진 2008-07-31 3256
109 3. 원불교의 창시자는 누구인가? 운영진 2008-07-31 3590
108 4. 원불교는 언제 생겼나? 운영진 2008-07-31 3144
107 5. 원불교는 어디에서 발생했나? 운영진 2008-07-31 2899
106 6. 원불교와 불교의 같은 점, 다른 점은? 운영진 2008-07-31 3621
105 7. 원불교는 어디에 있나? 운영진 2008-07-31 3100
104 8. 원불교에서는 무엇을 가르치는가? 운영진 2008-07-31 2838
103 9. "○"은 무엇인가? 운영진 2008-07-31 2992
102 10. "○"은 어디에 있나? 운영진 2008-07-31 2755
101 11. 원불교에서 사용하는 용어풀이 운영진 2008-07-31 3949
100 1. 나만 착하면 되지 무엇 때문에 교당을 … (2) 원불교 2008-06-23 3135
99 2. 종교인들은 더 위선적인 것 같아요? 원불교 2008-06-23 2906
98 3. 많은 종교 중에 왜 원불교를 다니나요? 원불교 2008-06-23 2988
97 4. 경제적 부담이 될 것 같아서요 원불교 2008-06-23 3003
96 5. 괴로운 일이 너무 많아서 교당에 못 나… 원불교 2008-06-23 2862
95 6. 교당에 잘 다니는 사람들이 불행한 일… 원불교 2008-06-23 2677
94 7. 마음으로만 믿으면 되지 꼭 교당에 다… 원불교 2008-06-23 2563
93 8. 일요일 하루만이라도 편하게 쉬고 싶습… 원불교 2008-06-23 2703
92 9. 계문을 지켜야 한다는 것이 부담스럽습… 원불교 2008-06-23 2584
91 10. 종교에는 관심 없어요 원불교 2008-06-23 2724
90 11. 생활이 복잡해서 정리한 다음에 교당… 원불교 2008-06-23 3153
89 12. 죽으면 끝인데 법신불(부처님)은 믿어… 원불교 2008-06-23 3024
88 13. 나쁜 사람이 더 잘 사는데 법신불(부처… 원불교 2008-06-23 3014
87 14. 원불교 경전은 무엇인가요 원불교 2008-06-23 3595
86 15. 신앙 생활을 시작한다고 해도 잘 할 자… 원불교 2008-06-23 2627
85 16. 다른 종교를 믿고 있습니다 원불교 2008-06-23 2905
84 17. 신앙 생활을 않고도 잘 살았는데 교당… 원불교 2008-06-23 2465
83 18. 우리 집안은 대대로 믿는 종교가 있습… 원불교 2008-06-23 2461
82 19. 종교는 불필요한 낭비 기관이라고 생… 원불교 2008-06-23 2360
81 20. 헌공금은 얼마나 내야 하나요 (1) 원불교 2008-06-23 3233
80 21. 교당은 나가지 않지만 염불ㆍ선ㆍ기도… 원불교 2008-06-23 2555
79 22.법신불께서 원하는 것을 들어주신다면 … 원불교 2008-06-23 2537
78 23 상사와 종교가 달라 종교 관계로 불편… 원불교 2008-06-23 2632
77 24. 신체 장애 때문에 용기가 나지 않습니… 원불교 2008-06-23 2521
76 25. 술과 담배를 못하게 해서 교당에 안 나… 원불교 2008-06-23 3242
75 26. 원불교의 중심 사상은 무엇인가요 원불교 2008-06-23 2855
74 27. 인과의 진리가 정말 있나요 원불교 2008-06-23 2727
73 28. 윤회가 정말 있나요 원불교 2008-06-23 2816
72 29. 어떻게 하면 신앙심이 살아날 수 있을… 원불교 2008-06-23 2554
71 30. 즐기기에도 시간이 부족한데 언제 교… 원불교 2008-06-23 2948
70 31. 계속 원불교를 다니라고 하니 매우 부… 원불교 2008-06-23 2425
69 32. 세상에 믿을 수 있는 것은 나 자신밖에… 원불교 2008-06-23 2620
68 33. 직장 때문에 일요법회에 참석할 수 없… 원불교 2008-06-23 2699
67 34. 종교는 사치라고 생각합니다. 원불교 2008-06-23 2457
66 35. 교당도 좋지만 학생은 공부가 먼저 아… 원불교 2008-06-23 2628
65 36. 죄가 많아서 교당에 가는 것이 망설여… 원불교 2008-06-23 2472
64 37.인연이 되면 언젠가는 믿게 되겠지요 원불교 2008-06-23 2566
63 38.믿으려면 일찍 믿어야지 너무 늦었어요 원불교 2008-06-23 2504
62 39.원불교를 믿음으로써 소외 당할까봐 걱… 원불교 2008-06-23 2517
61 40. 너무 깊이 빠져 들까봐 두렵습니다 원불교 2008-06-23 2458
60 41. 행사와 모임에 참석하라는 요구가 많… 원불교 2008-06-23 2786
59 42. 생업으로 계문을 범하게 되는 교당에 … 원불교 2008-06-23 2699
58 43. 교당이 멀어서 가기가 힘듭니다 원불교 2008-06-23 2553
57 44. 법신불(부처님)은 정말 우리의 기도를 … 원불교 2008-06-23 3137
56 45. 원불교 교도들은 사람이 좋은데 비결… 원불교 2008-06-23 2579
55 46. 대각개교절은 무슨 날인가요 원불교 2008-06-23 2528
54 47. 법인절은 무슨 날인가요 원불교 2008-06-23 3001
53 48. 교무님들은 결혼을 할 수 있나요 원불교 2008-06-23 2961
52 49. 여자 교무님들의 결혼 금지는 남녀 차… 원불교 2008-06-23 2926
51 50. 전무출신(專務出身)이란 어떤 분인가 원불교 2008-06-23 2859
50 51. 원불교는 창조론에 대해 어떤 입장을 … 원불교 2008-06-23 2429
49 52. 원불교에서는 선(禪)을 어떻게 하나요 원불교 2008-06-23 2915
48 53. 원불교는 어떤 부처님을 믿나요 원불교 2008-06-23 2781
47 54.원불교와 불교는 어떤 관계인가요 원불교 2008-06-23 2835
46 55. 소태산 대종사님을 왜 새 부처님이라… 원불교 2008-06-23 3451
45 56. 원불교는 언제 어느 곳에서 시작 되었… 원불교 2008-06-23 2475
44 57. 왜 원불교라고 하였나요 원불교 2008-06-23 2656
43 58. 원불교 개교의 동기는 무엇인가요 원불교 2008-06-23 2976
42 59. 교당에서 교무님들은 무슨 일을 하시… 원불교 2008-06-23 2485
41 60. 원불교 법당에는 왜 불상이 없나요 원불교 2008-06-23 3016
40 61. 원불교에서는 제사를 어떻게 지내나요 원불교 2008-06-23 4270
39 62. 천도재를 지내면 죽은 사람이 정말 왕… 원불교 2008-06-23 3141
38 63. 원불교인의 하루 일과는 어떻게 이루… 원불교 2008-06-23 3008
37 64. 교당은 고리타분하고 교도들은 재미가… 원불교 2008-06-23 2347
36 65. 교화단은 무엇 하는 모임인가요 원불교 2008-06-23 2602
35 66. 원불교에서는 불공을 어떻게 하나요 원불교 2008-06-23 2914
34 67.심고(心告)란 무엇인가요 원불교 2008-06-23 2635
33 68. 수행은 왜 해야 하나요 원불교 2008-06-23 2367
32 69. 화두(話頭)란 무엇인가요 원불교 2008-06-23 2619
31 70, 사은(四恩)은 무엇인가요 원불교 2008-06-23 2637
30 71. 삼학(三學)은 무엇인가요 원불교 2008-06-23 3113
29 73. 원불교의 인사법을 알고 싶어요 원불교 2008-06-23 3004
28 74. 원불교와 천도교 증산교는 어떤 관계… 원불교 2008-06-23 3750
27 75. 정말 극락과 지옥이 있을까요 원불교 2008-06-23 2911
26 76. 수행을 많이 하면 사리가 나온다던 데… 원불교 2008-06-23 2640
25 77. 교도가 지켜야 할 것들에 대해서 말씀… 원불교 2008-06-23 2638
24 78. 교무님이 되려면 어떤 교육 과정을 거… 원불교 2008-06-23 2727
23 79. 신앙 생활은 여자들이나 하는 것이지… 원불교 2008-06-23 2554
22 80. 종교 인구가 늘어난 만큼 범죄는 줄어… 원불교 2008-06-23 2253
21 81. 원불교가 성장하고 있는 비결은 무엇… 원불교 2008-06-23 2535
20 82. 원불교도 신을 믿나요 원불교 2008-06-23 2577
19 83. 원불교는 유심인가요, 유물인가요 원불교 2008-06-23 2518
18 84. 포교를 위해 방송·언론에 홍보를 해… 원불교 2008-06-23 2453
17 85. 후천 개벽이란 무엇을 말하며 그 시기… 원불교 2008-06-23 3359
16 86. 원불교는 공산주의에 대해서 어떤 입… 원불교 2008-06-23 2696
15 87. 일제하에서 원불교는 민족해방을 위해… 원불교 2008-06-23 2756
14 88. 원불교는 종말론에 대해 어떻게 생각… 원불교 2008-06-23 2429
13 89. 원불교는 통일에 대해 어떤 생각을 가… 원불교 2008-06-23 2613
12 90. 원불교에 가면 무엇을 배우나요 원불교 2008-06-23 2522
11 91. 원불교는 낙태를 어떻게 생각하나요 원불교 2008-06-23 2667
10 92. 유일신(하나님)과 법신불은 어떤 차이… 원불교 2008-06-23 2747
9 93. 원불교는 이혼에 대해 어떤 생각을 가… 원불교 2008-06-23 3063
8 94. 원불교는 환경 오염에 대해 어떤 입장… 원불교 2008-06-23 2477
7 95. 부모를 모시지 않으려는 세태에 대해 … 원불교 2008-06-23 2425
6 96. 새벽종은 33번 저녁종은 28번을 치는데 … 원불교 2008-06-23 2989
5 97. 원불교는 인권 문제에 대해 어떤 생각… 원불교 2008-06-23 2657
4 98. 원불교를 믿으면 신통력을 얻을 수 있… 원불교 2008-06-23 2813
3 99. 원불교에서는 어떤 사업들을 하고 있… 원불교 2008-06-23 2623
2 100. 원불교에서는 직업에 귀천이 있다고 … 원불교 2008-06-23 2872
1 101. 어떻게 하면 죽음의 길을 잘 다녀올 … 원불교 2008-06-23 3374